인천시가 가좌분뇨처리장 증설에 따라 지자체별 반입량을 재조정한다. 하지만 분뇨처리시설 이용에 대한 분담금 논의는 제자리걸음이다.
9일 시에 따르면 가좌분뇨처리장 용량을 1천780t에서 2천580t으로 증설하는 공사가 오는 7월 끝나는 만큼, 지자체별 반입량을 조정했다. 시는 기존 배정량에 증설 용량을 나눠주는 방식으로 지자체별 개인하수처리시설 용량 비율에 따라 400t을 차등 적용했다. 또 정화조 청소 지연일수를 감안해 100t을 추가로 배정했다. 시는 최종 배정량에 따라 분뇨를 반입하지만, 지자체마다 초과반입량을 10t까지 인정해 실제 반입량은 2천700t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자체 처리시설을 갖추고 있는 강화군과 분뇨 반입량이 10t에 불과한 옹진군은 반입량을 더 배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가장 많은 양의 분뇨를 반입하는 지자체는 부평구다. 부평구는 종전 410t에서 520t으로 반입 가능량이 늘어나면서 21.1% 이상 증가했다. 개인하수처리시설용량 비율이 21.3%에 달하는 남동구 역시 종전 380t에 120t을 추가로 반입이 가능해져 30% 이상 늘어난다.
미추홀구도 종전보다 110t이 늘어난 470t을 반입할 수 있다. 현재 미추홀구의 정화조 청소지연일수는 150일로 9개 군·구 가운데 가장 많다.
이 밖에 계양구와 서구는 분뇨 반입량이 50t씩 늘어 각각 380t과 290t을 반입한다. 중구와 동구는 종전 반입량에 20t을 더해 각각 160t, 130t씩 분뇨를 반입할 수 있다.
하지만 시가 추진중인 가좌분뇨처리시설 이용에 대한 군·구의 분담금 지급 합의는 지지부진하다. 시는 서구와 강화·옹진군을 제외한 7개 구로부터 전년도 분뇨처리시설 운영비의 15%가량을 분담금으로 받겠다는 계획을 세운 상태다. 연간 14억원 범위 이내에서 분뇨처리시설 이용금을 걷어 석남·가좌·원창동 등 가좌분뇨처리시설 주변에 대한 환경정비사업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 12월 지역별 반입 비율에 따라 분담금을 제시했지만, 여전히 구체적인 액수에 대한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일선 구가 예산 분담금 액수를 부담스러워 한다”며 “연말까지 분담금 규모를 조율해 구체적인 금액을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조윤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