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기업 지원 범위를 확대하는 등 ‘수출 도우미’로 나선다.
경기도는 중소기업의 해외 판로개척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FTA활용 지원사업을 확대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이 사업은 도가 FTA활용지원센터를 통해 도내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각종 FTA 관련 협정 및 실무 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것이다.
도는 올해 총 7억여 원을 투입, 중기 4천970여 개사를 지원한다. 특히 지원대상을 기존 ‘평균 매출액 300억 미만 기업’에서 ‘최대 1천500억 미만(제조업 기준) 기업’으로 범위를 넓혔다. 코로나19로 전 세계 경제가 어려운 점을 감안, 더 많은 중소기업에 판로 개척의 기회를 주려는 것이다.
온-오프라인을 병행한 FTA 활용 교육 및 컨설팅도 중점 진행한다. 코로나 시대 이후에도 비대면 B2C(Business-to-Customer) 마케팅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이에 FTA 체결 국가 진출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플랫폼 입점 교육을 지원한다.
또 기업 570개사를 대상으로 수요자 중심 ‘FTA 활용 1:1 맞춤형 컨설팅’도 마련했다. 이를 통해 수출ㆍ입 통관 관세, 원산지 증명서 등 전문화ㆍ다양화하고 있는 수출관련 애로사항을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FTA를 미활용하고 있는 기업 60개사에 대해서도 컨설팅을 진행, FTA 활용률을 높일 방침이다.
특히 지난해 11월 신규 타결된 세계 최대 FTA협정인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에 대한 선제적 대응에도 힘쓴다. 320개사를 대상으로 전문상담 및 설명회를 하고 일본과 최초로 맺는 FTA 협정임을 고려, 일본 수출기업에 대한 집중 컨설팅을 펼친다.
통상촉진단도 인도, 베트남, 중국, 북미, 아세안 지역을 대상으로 5차례 개최할 예정이다.
동시에 FTA 활용 시 관세절감에 따른 가격경쟁력을 기업에 안내하고 수출계약이 체결되는 경우 원산지 증명서 발행 및 인증수출자 취득까지 지원한다.
류광열 경기도 경제실장은 “최근 급변하는 통상환경에서 도내 수출 기업들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며 “경기FTA센터를 통해 중소 수출기업에 체계적인 맞춤형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