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995년 조선총독부 건물 철거 문서 등 30여년전 작성된 정부기록물 126만건을 공개했다. 그간 민감한 사안 등을 이유로 공개되지 않은 자료들이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기록물공개 심의회에서 비공개 기록물 251만 건을 심의, 126만건을 공개로 전환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로 전환된 기록물은 과거 경찰청,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등 53개 정부 기관이 생산한 문서다. 공개목록은 국가기록원 누리집에 게재됐다.
공개 기록물 중에 조선총독부 건물 철거 관련 문서에는 조선총독부 건물 철거(1995~1997년)를 위한 자문, 철거공사 과정 및 옛 조선총독부 중앙홀 벽화 보존 처리 내용 등이 담겨있다.
또 건물 첨탑의 독립기념관 이전, 중앙홀 벽화의 가치판단과 보존 처리, 국립중앙박물관내 보존 과정을 볼 수 있다.
특히 조선총독부 건물 부지 지하의 나무말뚝(9천388개)에 대해 지반 안정화를 위해 철거하지 않기로 한 결정 내용(구 조선총독부건물 철거지의 지하말뚝 처리 계획 보고)도 확인할 수 있다.
장애인복지 지원대책 관련 기록물은 1991년 장애인의무고용제 시행에 앞서 장애인복지 업무가 좀 더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검토한 내용이 담겨있다. 장애인종합대책, 장애인지원제도 개선을 위한 당시의 현황조사 자료 및 각종 개선 방안 등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국가기록원은 국민의 알권리를 위해 보유기록물 중 비공개, 부분공개 기록물을 검토한 결과 지난 2007년 이래 비공개 기록물 약 8천607만건을 재분류해 5천711만건(66.4%)을 공개로 전환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