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지역 내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Personal Mobility)의 사고 등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내놨다.
시는 31일 인천시교육청, 인천시경찰청 등과 함께 시민안전정책회의를 했다. 현재 인천에는 9개 업체와 6천25대의 PM이 운행 중이다. 최근 들어 이용이 늘어나면서 사고가 급증했고 이용자의 무분별한 방치로 보행자가 불편을 겪는 등 문제가 생기고 있다.
시는 PM의 안전한 이용 문화 확산을 목표로 3개 추진과제에 10개 사업을 담은 ‘인천시 개인형 이동장치(PM) 안전관리 종합계획’을 마련했다. 시는 올해 96억원 등 앞으로 5년간 598억원을 투입한다.
시는 시교육청, 인천경찰청, 군·구, 공유 PM업체 등과 민·관 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시는 중·고등학생 및 자동차 운전자의 의식개선을 위해 통행방법, 운전자 준수사항, 주행 습관 등 체험학습과 연계한 안전교육을 할 예정이다. 또 인천시민의 사고 발생을 보장하기 위해 PM 보험 가입도 추진한다.
시는 또 안전한 이용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위해 자전거도로 등의 정비·확충에도 나선다. 운행 및 속도 제한 지역도 지정한다. 이와 함께 PM 이용자와 보행자의 교통안전을 위해 주·정차 금지구역과 권장구역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시는 인천경찰청, 군·구와 공동으로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현장 계도·단속하고 관련 기관과 홍보물 및 각종매체와 캠페인을 하는 등 안전을 위한 시민홍보를 강화한다.
박남춘 시장은 “PM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안전관리도 매우 중요하다”며 “사람 중심의 안전우선 교통문화 정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