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 일자리 창출은 산업구조 고도화로부터

인천시가 지난 1일 ‘2021 인천시 일자리 대책’을 발표했다. 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과 산업구조 대전환을 통한 고부가가치 일자리 창출에 역점을 두고 모두 13만4천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목표를 제시했다. 목표 달성을 위해 생애주기별·지역특화형 일자리 만들기에 1조9천억원을 투입하고, 인천형 뉴딜사업에 5천646억원을 투입해 2천680개의 고부가가치 일자리를 제공한다. 또 코로나19 고용충격 최소화를 위해 1조2천억원을 투입해 한시적 공공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을 제시했다.

인천의 산업구조를 탈바꿈시키기 위해 미래산업의 강화 대책도 구체적으로 밝혀 한층 시민의 기대를 높이고 있다. 송도국제도시에 입주한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등과 협력해 세계적인 바이오 클러스터 단지 조성을 추진한다. 송도와 제물포 계양테크노벨리 등 3개 축을 중심으로 인천형 뉴딜사업을 추진해서 데이터(Date)·네트워크(Network)·인공지능(AI) 등 ‘DNA’ 산업 기반의 혁신밸리를 조성한다. 또 청년들을 위한 창업생태계 중장기 로드맵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하고 ‘인천창업포럼’을 통해 체계적인 창업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하지만 미래를 향한 구체적인 계획 속 인천 전통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대한 미래 비전과 대안의 부재는 아쉬운 점이다. 한국은행의 분석에 따르면 인천의 산업비중이 큰 산업단지의 가동률이 2015년 이후 60%대로 급격히 하락하고 생산 증가율도 연평균 0.5%로 둔화하고 있다. 그나마 제조업을 버티게 한 의약품과 반도체의 성장도 부가가치의 창출력이 미흡하고 서비스업의 고부가가치화가 늦어져 산업전반의 성장이 둔화하고 생산성이 낮아지는 등 제조업 기술 혁신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인천 성장동력의 강화를 위해서 산업단지 혁신은 최우선 과제다. 전체 1만1천개의 업체에 17만개의 일자리를 15개의 산업단지가 갖고 있다. 오랫동안 국가와 인천시가 나서서 남동산단을 비롯한 지역내 산업단지의 구조고도화에 많은 노력을 했으나 성과는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인천 국가산단 청년종사자 비중이 13%에 불과하고 산단의 이미지가 과거 지향적인 전통산업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지역이 갖는 한계 등의 불리한 여건과 고착된 산업관행 등을 혁파하지 못한 결과다. 근본적인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해 모두가 나서야 할 때다. 산단에 입지한 기업들이 정보통신과 바이오 등 첨단산업으로 업종 전환하고 복지개선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도 필요하다. 인천시가 제시하는 송도와 남동공단을 잇는 ‘바이오 혁신 클러스터’ 조성이 구호에 그치지 않고 최우선적으로 실천하는 결단이 요구된다. 아울러 최근 인천시가 제시한 ‘낮에는 비즈니스 공간으로, 밤에는 산업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하겠다는 구상에 기대가 크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