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단계 기준 상단선보다 한참 위
코로나19 ‘4차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조정의 핵심 지표인 1주일간 일평균 지역발생 확진자 수가 600명 선을 넘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2일 0시 기준 전날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587명 발생했다고 밝혔다. 엿새 만에 600명 아래로 내려왔으나 휴일 검사 건수가 평일 대비 대폭 줄어든 영향으로 보인다. 경기지역 확진자는 176명 증가했다.
최근 1주간(6∼12일) 지역발생 확진자는 일평균 607명으로, 2.5단계 기준(전국 400명∼500명 이상 또는 더블링 등 급격한 환자 증가)의 상단선을 훌쩍 뛰어넘었다. 이 수치가 600명대로 올라선 것은 ‘3차 대유행’이 정점을 지나 진정국면으로 접어들기 직전인 1월12일(일평균 631명) 이후 90일 만이다.
이처럼 연일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현행 수도권 거리두기 2단계와 식당ㆍ카페 등 다중이용시설 영업제한(오후 10시까지) 조치가 재검토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앞서 지난 9일 거리두기 3주 재연장 방침을 발표하면서 상황이 악화할 경우 3주 이내라도 언제든지 거리두기 단계를 격상, 영업시간을 9시로 1시간 당길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구체적인 재검토 기준으로 지역발생 확진자 600∼700명대를 제시했다.
강도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지역별로 감염 상황이 악화하는 경우 거리두기 단계를 신속하게 조정할 계획”이라며 “당장 단계를 격상해도 부족한 위기 국면이지만, (현행 거리두기를 유지하는 것은) 국민 불편이 장기화하고 자영업자의 고통과 피해를 감안한 고육지책“이라고 했다.
한편 오세훈 서울시장이 유흥시설 등 업종별로 영업제한을 달리하는 취지의 ‘서울형 거리두기’ 초안을 내놓으면서 정부와 서울시 간 충돌이 예상된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오 시장의 방역대책에 난색을 표했다. 정 청장은 “사회적 거리두기는 사람 간 접촉을 최대한 줄여서 확산을 막는 것에 이유가 있다”며 “(서울시의 지침이) 거리두기 원칙에 맞는 수칙들로 마련됐는지를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