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IFEZ)청은 2003년 출범한 이후 인천성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 제조업 중심 특화도시의 오명에서 벗어나 국제도시의 면모를 갖췄고 전국 광역시에서 유일하게 지속적으로 인구가 성장하는 등 다른 도시의 부러움을 사도록 했다.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IFEZ는 이제 도시기반시설도 다 갖춰지고 주거지가 조성돼 많은 주민이 이주했다. 일자리도 창출해서 자족적인 국제도시 모습으로 성장했다. 최근에는 바이오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세계 최고 국제도시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각종 갈등이 이어지고 있으며, 그 해결의 기미조차도 보이지 않고 있다.
IFEZ 현안사업 등을 둘러싼 지역 및 주민간 갈등과 이기주의는 경제청장에 대한 인사권에까지 영향을 미치려 하고 있다. 원도심과 상생은 커녕 같은 IFEZ인 송도와 청라간의 이기주의 갈등으로 많은 질타를 받았다.
주민의 지역이기주의는 송도 화물주차장 조성을 두고 또 다시 격돌하고 있다. 여기에 지역 정치권과 자치구까지 나서 갈등을 증폭시키고 있다. 인천항만공사(IPA)와 인천경제청의 안이한 대처는 민·민갈등을 촉발시켰고, 연수구도 가세해 관·관갈등까지 일으키고 있다. 최근 인천시와 구가 공동으로 용역을 해 당초 계획대로 결과를 발표했으나 갈등이 해결되지 않고 잠복한 상황이다. 시의회가 나서서 제도적으로 접근하여 해결하려는 노력에 일말의 기대가 되는 것이 그나마 다행이다.
2012년부터 도시 관리 업무를 놓고 시작된 인천경제청과 자치구간 갈등은 10년째 원점에도 맴돌고 있는 모습이다. 인천경제청은 지난 2015년 12월 체결한 ‘자동집하시설 운영관리 협약’에 따라 소유와 운영을 5년간 한시적으로 이원화했다. 5년간 인천경제청이 소유하면서 운영비를 지원하던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소유권이관을 자치구가 거부하면서 새로운 갈등으로 부각하고 있다. 연수구가 기존의 7대를 두고 소유권 이관을 거부하는 가운데 추가로 4대를 설치하고 시운전을 마친 상황에서 갈등은 심화되고 있다. 이에 소유권 분쟁은 지난해 행정안전부 중앙분쟁조정위원회에 상정되어 그 결과를 기다리면서도 결과에 대한 승복의지를 밝히지도 않고 있어 주민들이 불안해 하고 있다.
주민의 필수적인 편의시설에 대한 기관간의 갈등이 지속되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들에게 돌아간다. 코앞의 이익과 정치적인 이해관계로 행정의 신뢰를 저버리는 행정은 지탄받아 마땅하다. 단순한 비용부담의 문제로 치부하지 말고 원칙과 합리적인 대안을 조속히 마련하는 경제청의 결단이 요구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