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나 핸드폰이 고장났어”…인터넷 사기 매년 20% 증가

#1. A씨는 B씨와 C씨로부터 ‘엄마, 나 지금 휴대전화가 고장 났는데, 문화상품권을 결제하려면 주민등록증이 필요해’라는 메시지를 받았다. 이어 휴대전화에 원격조종 프로그램을 설치하라는 요구에 따랐다. 이렇게 A씨의 주민등록번호와 계좌번호를 얻은 B씨와 C씨는 2차례에 걸쳐 A씨의 계좌에서 1천800만원을 속여 뺏었다.

#2. 지난해 9월께 인터넷상 가짜 투자거래 사이트를 개설한 D씨는 SNS 오픈 채팅방에서 ‘평균수익률로 5~6주 120~240% 수익 목표, 금(金) 시세의 변동률로 수익을 창출하는 재테크 상품’을 홍보했다. D씨는 이 사이트로 피해자 3명을 속여 대포 계좌로 7천200여만원을 받아 이득을 취했다.

지인 사칭, 물품거래 사기 등 인터넷 사기 범죄가 최근 3년 사이 50% 이상 증가하면서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8일 경기남ㆍ북부경찰에 따르면 경기도내 인터넷 사기 범죄가 지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52.3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보면 2018년 2만6천153건, 2019년 3만2천95건, 2020년 3만9천854건의 인터넷 사기가 발생했다. 매년 20% 넘게 증가했다.

메신저피싱은 보이스피싱에서 진화된 사기수법으로 자녀나 지인을 사칭해 SNS로 보내는 방식이다. 사기꾼들은 신분증, 계좌번호 등 개인정보를 요구하거나 원격조종 프로그램 설치를 유도한다. 투자거래사기의 경우 SNS의 단체 채팅방 등에 피해자를 초대, 가짜 주식사이트 가입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피해가 속출하자 경기남부청은 지난 2일 사이버범죄 관련 피싱, 허위 조작정보 등에 대한 피해예방 요령이 담긴 예방법을 홈페이지 및 SNS를 통해 배포한 바 있다.

경찰은 메신저피싱은 본인과 통화를 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투자거래 사기의 경우 금융감독원에 사이트 주소와 회사명을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경찰 관계자는 “지인을 사칭해 상품권, 금품,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메신저피싱일 경우가 높으니 개인정보를 넘기면 안된다”며 “매년 사이버 범죄가 늘어나면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건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