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년만에 등재한 유네스코 자연유산...내년에는 가야고분군 등재 심사 예정
생물 2천여종이 살아가는 생명의 보고인 ‘한국의 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26일 세계유산위원회(WHC)는 이날 중국 푸저우에서 온라인과 병행해 열린 제44차 회의에서 한국의 갯벌을 만장일치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중 자연유산에 등재했다.
한국의 갯벌은 지난 5월 세계자연유산 자문ㆍ심사기구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으로부터 네 단계 평가 체계 중 세 번째인 ‘반려’ 권고를 받았으나, 이번에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두 단계를 올려 등재에 성공했다. 우리나라가 반려 판정을 받은 유산을 철회하지 않고 한 번에 등재하기는 처음이다. 세계유산 평가 체계는 등재, 보류, 반려, 등재 불가로 나뉜다.
한국의 갯벌은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에 이어 한국이 14년 만에 두 번째로 등재한 자연유산이다. 충남 서천, 전북 고창, 전남 신안, 전남 보성·순천 등 4곳에 있는 갯벌을 묶은 유산이다. 신안 갯벌이 1천100㎢로 가장 넓고, 나머지 갯벌 면적은 각각 60㎢ 안팎이다. 모두 습지보호지역이고, 일부가 람사르 습지이다.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추진단에 따르면 한국의 갯벌에는 멸종위기에 처한 물새 22종과 해양 무척추동물 5종이 서식하며, 범게를 포함해 고유종 47종이 있다. 대표적 멸종위기종은 검은머리물떼새, 황새, 흑두루미, 작은 돌고래인 상괭이 등이다. 또 한국의 갯벌은 동아시아와 대양주 철새 이동로에서 핵심 기착지이기도 하다.
김현모 문화재청장은 “위원국을 대상으로 갯벌의 가치를 부각하며 적극적으로 설득한 전략이 이뤄낸 쾌거”라며 “세계에서 인정한 갯벌의 가치를 지키고 홍보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한국의 갯벌의 등재 성공으로 한국이 보유한 세계유산은 15건으로 늘었다. 내년에는 김해 대성동, 함안 말이산, 합천 옥전, 고령 지산동, 고성 송학동,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창녕 교동과 송현동 등 가야 고분 7곳을 묶은 ‘가야고분군’(Gaya Tumuli)이 세계유산 등재 심사를 받는다.
권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