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 11일 실시되는 제19대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이 국민들의 외면과 ‘돈 봉투’ 파문을 돌파하기 위해 대대적인 현역 물갈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때문에 그 어느 선거 때보다 인재영입의 폭이 넓어 지는 등 여야의 인적쇄신이 승패의 갈림길이 될 전망이다.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는 현역 기득권 포기 등 연일 쇄신안을 내놓고 민주통합당도 전당대회를 마치고 공천개혁에 나설 예정이다.
국민이 최루탄 국회, 측근비리 등 잇따른 정치권의 구태에 혐오감을 느낀데다 고단한 삶까지 겹치면서 정치권에 대한 반감이 표심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특히, 한나라당 고승덕 의원의 ‘돈 봉투’ 파문이 여당은 물론, 민주통합당까지 쓰나미로 덮치면서 정치권에 대한 민심이반이 더욱 가속화되는 상황이다.
이를 반증이나 하듯 총선에서 현역의원 공천과 관련해 본보와 한길리서치가 공동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10명 중 6명(58.2%)은 ‘현 지역구 의원을 새 인물로 교체해야 한다’고 답했다. ‘현역의원을 다시 선택하겠다’는 응답은 21.3%로 대부분 지역구에서 재신임률이 10~20%대에 머물렀다.
이에 여야는 인적쇄신을 위해 공천혁명 수준을 내세우며 오픈프라이머리를 전략으로 공천 방안을 잡고 있다.
돈 봉투 파문의 진원지인 한나라당은 쇄신파의 재창당 요구의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친박(친박근혜)계 내부에서 ‘물갈이 공천’의 물꼬를 트기 위한 자발적 희생론이 확산되고 있다.
박근혜 비대위원장이 기득권 배제를 천명한 만큼 ‘4·11 총선’ 공천과정에서 강력한 인적 쇄신을 단행할 수 있도록 친박계부터 스스로 기득권을 내려놓음으로써 정치적 부담을 덜어주자는 취지로 보인다.
여기에 당 지지도보다 5%p 이상 낮은 현역 교체라는 이른바 ‘5% 룰’까지 적용할 경우, 당내 공천개혁의 폭은 더욱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나라
박 위원장 부담 덜어주기 위해 수도권 친박계 ‘총대 퇴진’ 확산
민주
공천=당선 호남 ‘인적쇄신론’ 중진의원 적진으로 차출설도
경기도내 의원 중 친박(친박근혜)계는 유정복 의원(김포)을 비롯해 김영선(고양일산서)·손범수(고양덕양갑)·김태원(고양덕양을)·김성수(양주동두천)·박보환(화성을)·황진하(파주)·한선교(용인수지)·이범관(이천여주) 의원 등이다.
반면 친이(이명박)계로는 백성운(고양일산동)·김영우(연천포천)·정미경(수원권선)·신영수(성남수정)·고흥길(성남분당갑)·이화수(안산상록갑)·박순자(안산단원을)·김성회(화성갑)·김학용(안성)·정병국(양평가평)·신상진(성남중원)·심재철(안양동안을)·전재희(광명)·원유철(평택갑)·이사철(부천원미을)·안상수(의왕과천)·박준선(용인기흥)·정진섭(광주)의원 등이 꼽힌다.
쇄신파인 남경필(수원팔달)·주광덕(구리)의원 등과 김문수 지사 계보인 차명진(부천소사)·임해규 의원(부천원미갑)도 친이계에 속한다.
그러나 여당은 공천개혁을 이유로 현역의원을 교체한다 하더라도 당선 가능성이 있는 참신한 정치인 또는 공직자 사퇴시한(12일)전에 장·차관급 또는 사회적 지지를 얻고 있는 외부 거물 인사를 영입해야 하는 과제도 함께 풀어야 한다.
민주통합당은 오는 15일 전당대회를 통해 당권을 잡은 새 지도부가 한나라당 못지않은 쇄신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전망된다.
여당이 대대적인 물갈이를 예고하는 상황에서 당의 텃밭으로 통하는 호남에서 자기희생적 자세를 보여줘야 한다는 호남 물갈이론이 대표적이다. 호남 중진의원들이 수도권이나 영남권 등 비호남에 출전하는 차출론도 거론된다.
여기에 통합진보당과의 선거연대를 위한 후보단일화 과정에서 민주통합당이 기득권을 내놔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도 높다.
도내 한 의원은 “19대 총선에서의 인적쇄신은 각 당이 살아남는 첫 단추가 될 것”이라며 “국민이 원하지 않는 후보를 낼 경우, 이는 곧 연말에 치루어지는 대선에 바로 영향을 미쳐 정권의 향배를 가름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해인·김창학기자 ch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