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춘(경기도 교육위원)
15일 교육인적자원부가 전국의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기초학력진단평가를 실시했다. 초등학교 3학년은 읽기, 쓰기, 셈하기 등 기초학력이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국가 수준에서 정확한 학력 실태를 파악하여 미달 학생에 대한 보충수업 등 정책자료를 얻기 위해 실시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 일부 교원 단체와 시민단체에서는 학력평가는 학생을 직접 가르치고 있는 담임선생님이 수시로 진단하고 평가하는 것이지, 국가가 획일적으로 전국의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다는 것은 개인별 학교별 서열화나 경쟁을 부추겨 학교현장을 지식편중의 교육으로 회귀시켜 인성교육과 전인교육을 포기하게 하는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평가를 대비한 학원과외, 학습지 판매 등으로 학부모의 사교육비 부담만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민주사회에서 이렇게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이 논란을 벌이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힘 있는 쪽이 밀어 붙여 시행착오를 해서도 안되지만, 목소리 큰 쪽이 일부여론을 등에 업고 말없이 다수를 독점하려 해서도 안된다. 교육목적 달성을 위한 정책시행에는 순기능도 있고 이에 따른 부작용도 있게 마련이다. 이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견해나 주장은 많을수록 좋은 것이다.
이번에 실시된 3학년의 기초학력평가나 부작용이나 역기능도 있겠지만, 교육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국가차원에서 정확한 기초학력의 수준을 진단해 보는 것은 미래의 초등 교육의 발전방향을 설정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 기회도 된다고 판단된다.
학생교육은 담임선생님만 책임지고 하는 것이 아니다. 국가, 사회, 학부모 모두가 협력해서 해야 하는 것이므로, 이들의 욕구도 선생님들이 외면해서도 안된다. 어느 한쪽이 독점할 수 없는 것이 교육이기 때문이다.
3학년 기초학력진단평가의 역기능을 순기능으로 승화시켜 진단평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선생님들의 적극적인 도움이 필요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