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고령화 사회 대비를

요즘 시대의 말로 ‘사오정 오륙도’라고 하는 말이 있다. 사십오세면 정년퇴직을 해야하고 오십육세까지 일을 하면 도둑놈 소리를 듣는다는 사회를 비아냥 거리는 풍자의 말이다. 이렇게 우리사회는 빠르게 늙어간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2000년에 인구 대비 7%가 노인들로 노령화 사회에 진입을 했다. 지금의 속도로 추정해 본다면 앞으로 19년후인 2019년에는 인구 대비 14%가 노인들로 인한 노령화 사회가 될 것이라는 예측을 하게 된다. 노령화 사회로 가는 기간도 선진국인 프랑스 미국 독일 일본 등과 비교해 보면 엄청나게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이렇게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로 가고 있는데, 정작 어려운 시대를 살아오신 우리네 어르신들은 소득이 적은 분들이 많다. 평균수명이 80세를 내다보는 이때에 대개 65세가 좀 넘으면 심장병, 당뇨병 등 만성질환에 시달리는 분들이 많이 계신다. 따라서 노인들에 대한 생활보장 , 의료보장이 절실히 요구된다.

최근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도시 노인의 절반 이상이 영양상태가 매우 좋지 않다는 논문발표가 있었다. 그리고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영양상태가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하루 식사를 한 두끼 굶는 노인도 많다고 한다. 노인건강 상태의 평가와 더불어 부차적으로 영양상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노인의 영양상태는 운동의 유무, 정신건강, 일상 생활 능력 그 외 만성 질병인 폐결핵, 대소변 실금 등에 크게 영향을 준다고 나타났다.

이런 요인들을 감안 한다면 노인을 위한 사회보장, 건강보장 등을 구분하여 접근하기 보다는 동시에 사회복지와 노인건강보험을 함께 접근해 가는 것이 옳을 것이다.

노인학을 전공하는 학자들에 의하면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들에 대한 포괄적이고 다차원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한다. 이런 이유에서라도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이때 범국가적 차원에서 노인들의 생활환경을 위한 노인 복지, 후생문제와 노인보험 문제는 더 이상 미루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특히나 치매 노인에 대한 보호를 위해 전문요양시설과 치매전문요양병원 등을 단계적으로 확충, 확대해 나가야 한다. 개인적으로도 노후 준비는 빠를수록 좋을 것이며, 국가에서도 노후생활에 대한 즐거운 복지도시를 사전에 준비를 한다면 이 또한 더 없는 이상적인 국가가 될 것이다.

/정복희.경기도의사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