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장마가 시작되었다. 장마가 끝나면 무더위가 또다시 시작될 것이고, 그 중간 중간에 또 태풍이 찾아 올 것이다. 물론 여름휴가가 우릴 기다리고 있어, 지금부터 계획을 짜고 준비도 하는 설레임을 느낄 수도 있지만, 휴가계획 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이런 날씨에 대한 준비일 것이다.
여름에는 정말 많은 재해들이 우릴 기다리고 있다. 폭우로 인한 재해, 휴가지에서의 뜻하지 않은 재해, 태풍으로 인한 재해 등등… 재해를 대비하는 것이 우리의 안전의식을 살찌울 수 있는 방법이고, 이 여름 안전하게 지낼 수 있는 밑거름이기도 하다.
이중 한가지 더 부탁하고 싶은 것이 가스에 대한 관심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가스는 기체연료이기 때문에, 기온이 높은 여름에는 압력상승으로 인하여 사고발생의 우려가 높아진다. 그만큼 사계절 중 가장 가스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시기가 바로 여름이다.
장마철에는 배관, 호스 등의 연결부분 이탈에 의해서 가스가 누출될 수 있어, 호스와 가스용품, 배관 등 연결부분이 잘 조여져 있는지 살펴본 후 오래된 시설은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미리 교체해야 한다.
집중호우로 인해 침수됐던 지역에서 이후에 가스시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연결부분에 대한 점검후 사용해야 하며, 가스레인지는 깨끗한 물로 씻어 말리고 보일러는 전문가의 서비스를 받은 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장마가 끝난 후 본격적으로 더위가 시작되어 한낮의 온도가 보통 30℃를 넘게 되면, 차안의 온도는 60℃ 이상까지 올라가게 되는데, 이런 차 내부에 가스라이터를 놓고 내린다거나 부탄캔을 두고 내린다면 가스폭발 사고를 당할 수 있다. 특히 휴가지에서 이런 가스사고를 당하지 않으려면 꼭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이다.
그리고 사실 무더위 속에 가장 관심이 필요한 가스시설은 바로 LPG용기다. LPG용기는 뜨거운 햇볕과 눈, 비를 막아줄 수 있는 용기보관실에 보관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지만, 공간 등이 여의치 않아 옥상이나 건물 외진 곳에 보관할 경우라도 최소한 차광막을 설치하고, 체인이나 굵은 끈 등으로 고정해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름철, 우리주변 가스시설을 다시 한번 점검하고 관리하여 가스사고로부터 우리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해야 할 것이다.
/박영권.한국가스안전공사 경기지역본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