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는 깎아서 먹어야 한다’는 습관이 하루빨리 ‘사과는 껍질째 먹어야 한다’로 바뀌었으면 한다. 사과는 110년전 서양 선교사를 통해서 우리나라에 들어와 재배되기 시작한 것으로, 선물로 주고받거나 차례를 모시기 위해서 주로 큰 것을 선호하였기 때문에 혼자 먹기가 거북해 몇 조각을 내고 배(梨)를 먹는 습관에 따라 사과도 껍질을 벗겨 먹게 된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사과를 매일 먹으면 의사를 거지로 만든다’는 속담이 있다. 사과를 매일 먹는 습관이 있는 서양에서는 사과를 손아귀에 넣고 한입씩 베어먹을 때 나는 ‘아삭아삭’ 소리를 크런치(crunch)라 하는데 이 소리를 귀로 듣는 것이 먹으면서 느끼는 맛보다 더 즐겁다고 한다.
사과의 원산지인 서양에서 껍질째 먹으니까 우리도 껍질째 먹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요즘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건강 측면에서 볼때 껍질째 먹어야 하는 이유가 있다. 사과에는 채소류의 섬유질과 같은 식물성 섬유 0.5% 가량이 주로 껍질 속에 들어 있는데, 이는 장의 운동을 자극하고 장의 벽에 젤리 모양의 벽을 만들어 유독성 물질의 흡수와 장내의 이상 발효를 억제하고 변비도 예방하며 다이어트 효과도 있다고 한다.
최근 싱가포르의 국립암센터에서 발표한 것에 의하면, 사과 껍질에서 추출한 ‘케르세틴’ 성분은 산화작용을 억제 또는 예방하는 항산화 물질로 흰쥐의 실험에서 암세포 재생을 43%까지 억제한다고 하였다. 칼륨 성분은 소금을 너무 많이 섭취하여 생긴 고혈압에서 나트륨과의 평형을 이루어 혈압을 낮춘다.
아무리 건강에 좋다하여도 사과를 한손에 쥐고 껍질째 먹기는 우리의 관습으로 볼 때 쉽지 않을 것 같다. 그러나 이번에 우리나라에서도 사과를 손쉽게 8등분으로 쪼개면서 씨가 있는 중심부분은 도려낼 수 있는 ‘사과 칼’이 개발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각종 시식 및 홍보 행사를 통해서 사과 칼로 예쁘게 8조각으로 쪼갠 사과를 소비자들이 맛있어 하면서 껍질째 먹는 것을 확인하였다.
껍질에 농약이 남아있지 않을까 걱정하는 소비자들도 많은데 최근 친환경적인 농법에 의한 사과생산이 보편화되고 농약사용량이 과거보다 50% 정도 줄고 있어 깨끗이 닦으면 안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제부터는 사과를 물에 한번 씻어서 ‘사과 칼’로 쪼개어 껍질째 먹는 습관을 일상화함으로써 사과 소비확대는 물론 국민의 건강이 증진되기를 기대한다.
/임명순.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