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DMZ 관광자원 활용에 거는 기대

남북한 교류의 긴장완화와 개성공단 및 개성관광 논의에 힘입어 DMZ와 인접지역의 평화적 이용 및 관광자원 개발과 관련 학술조사, 연구, 포럼, 보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경기도는 7월 15~16일 이틀간 ‘한반도의 DMZ를 평화와 자연의 성지로’란 주제로 DMZ 평화포럼을 개최하였다.

현재 DMZ내에 있는 진정한 관광상품은 유일하게 ‘판문점’밖에 없지만 그것도 외국인에게는 늘 개방되어 있으면서 내국인들에게는 단체에 한해서 방문의 길이 열려있다. 현재 DMZ의 관광상품은 북한측 남침갱도(땅굴)와 남방한계선 부근의 전망대(관측소)를 통해 북측을 구경하는 것에 그치고 있고 그밖에 ‘도라산역’ ‘1·21무장공비 침투로’ 방문 등 안보관광에 치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DMZ내에는 많은 역사적 문화유산을 비롯해 생태계 등 자원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DMZ는 남과 북이 갈라져 있는 우리의 현실을 대외적으로 대변하여 주는 자원일 뿐 만아니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브랜드이며 다른 나라의 어느 관광자원 보다도 훌륭한 ‘관광자원의 보고’라고 여겨진다.

그동안 DMZ와 관련하여 이야기가 나오면 환경 또는 생태계 보존문제 등과 연관지어 관광측면에서 접근하기가 곤혹스런 측면이 강했다. 비무장지대와 인접지역의 관광자원 개발에 대하여 학자들 간에 이견은 물론 정부내에서도 부처간에 개발론과 보존론이 끊임없이 논의돼 왔다. DMZ는 보존이 절대 전제조건이지만 우리의 후손들이 보전을 잘 하고 DMZ자원을 멋지게 활용하기 위해서라도 관광자원화로 나가야 한다.

풍부한 자원들을 관광자원화 및 상품화하는 데는 많은 제약과 규제가 뒤따르고 있다. 첫째, 비무장지대는 정전협정에 의거 유엔사(주한미군) 및 북한군이 관장하고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양측의 협의 또는 양해가 없으면 활동 자체가 지극히 제한적이다. 둘째, 안보와 관련 비무장지대를 비롯한 민통선까지 군당국의 출입 규제 및 통제하에 있어 개발이 묶여있다. 셋째, 전쟁에 의한 대인지뢰가 매설되어 있어 위험성이 많다. 넷째, DMZ의 관광자원화와 관련하여 개발과 보전을 관리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통합관리기구를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관광자원화에 있어 이러한문제점을 인식하고 다음과 같이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다가오는 10월말 유엔군사령부에서 그동안 관장하던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의 경비업무가 한국군에 이양될 예정이다. DMZ의 전구간인 임진강 서쪽에서 동해안 고성지역까지 경비업무가 100% 한국군으로 대체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엔사의 통제로 인해 출입통제가 매우 까다로웠던 부분에 대하여 우리 군 당국도 ‘열린 국방’과 ‘국민과 함께하는 국방’을 실천하려는 의지로 융통성을 발휘하여 탄력적으로 운영의 묘를 살려야 한다. 국방부를 비롯한 군당국은 비무장지대 일부 또는 남방한계선의 안전지역에 한해서 내국인을 비롯한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도 획기적으로 개방해야 한다.

아울러 관광자원화를 위한 최대의 장애물인 지뢰를 완전히 제거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국방부를 비롯한 통일부, 문화관광부, 환경부 등 정부기관과 지자체 및 관련단체가 (가칭)DMZ관광협의회 등을 구성하여 사전에 충분한 협의가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각 관계 기관끼리 개발이익을 우선시하므로 무분별한 개발을 막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DMZ의 관광자원화 및 상품화는 분단국의 현실을 밑바탕으로 한 안보자원과 환경훼손을 최소화하는 생태계 그리고 체험이 접목되는 평화·생태·체험관광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장승재 판문점 & DMZ관광연구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