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후 유엔군(주한미군)이 맡아온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경비업무가 미래한미동맹정책구상회의(FOTA) 합의에 따라 다가오는 11월 1일 반세기 만에 완전히 종료됨으로써 그동안 유엔사에서 관장했던 판문점관광의 진행업무에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남북대치상황에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은 유엔사 군정위, 중립국감독위원회 및 대한적십자사가 한반도의 안보를 보장하고 화해를 촉진시키기 위해 상대방인 북한측과 접촉을 할 때 그들의 업무를 지원하는 작전지역이지 결코 관광명소는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작전지역임에도 불구하고 판문점은 지구상 마지막 분단국가의 실체를 볼 수 있는 특수지역으로 한반도 지역에서 서울과 평양에 이어 전세계적인 유명한 지역이다.
또한 한반도의 남과 북을 찾는 관광객들이 빼 놓을 수 없는 방문지가 되었고 DMZ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관광상품이다.
이에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중 많은 인원이 판문점 관광을 희망하고 있으나 판문점 출입 인원 제한으로 북한 남침야욕 현장을 보여주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래서 당국에서는 판문점관광에 대해 군사보안상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안에서 인원증원을 비롯한 판문점 개발에 대하여 유엔군사령부에 건의한 바 있으나 위험성의 상존 등의 이유로 어려움이 따랐다.
이런가운데 11월 1일 한국군에 JSA 공동경비구역 경비 책임을 넘기기로 한 현 시점에서 판문점 관광통제업무와 관련 기존대로 유엔군사령부에서 판문점관광 업무를 계속해서 맡든 또는 한국측으로 이관하든 판문점관광은 분명히 변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향후 판문점 관광안내 책임이 유엔사에서 한국측으로 업무 이관 시점에 맞춰 판문점 방문 및 관광의 관련기관인 통일부, 국방부, 문화관광부, 국가정보원, 유엔군사령부 군정위 그리고 판문점관광을 처음으로 주도하였던 한국관광공사를 비롯한 관광업계와 해당지자체인 경기도와 경기관광공사, 파주시까지 포함해서 판문점 방문의 개선사항 및 활성화를 위해 충분히 협의가 있어야 한다.
판문점관광의 활성화 차원에서 개선할 가장 중요한 부분은 판문점 방문규정을 개정하고 그리고 제도적인 운영을 보완해 판문점 방문객에 대한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것 등이다.
예를 들면 변화된 시대의 요청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방문규정에 아직도 청바지를 입고 판문점 방문은 안 된다. 또는 중국과 러시아를 비롯한 사회주의권 및 동구권 외국인 관광객이 판문점을 방문하려면 약 20일전에 유엔사에서 지정한 여행사에 신청해야 하는 등 현실에 맞지 않는 많은 규정이 너무 오랫동안 적용되고 있다.
둘째, 제도적인 운영면에서 판문점방문 절차의 간소화를 통한 내국인들의 판문점 방문 확대와 편의를 위해 방문업무를 정부기관에서 민간단체로 이관하여 국민들에게 쉽게 방문을 접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가칭)‘판문점관광안내센터’를 현대식으로 신축, 센터내에 사전교육장을 비롯한 휴게실, 식당, 기타 편의 시설 등을 한곳으로 통합하여 내·외국인의 판문점 방문객 편의를 위한 명실공히 ‘판문점관광안내센터’역할을 하였으면 한다.
끝으로, 20~30 년전에 만들어진 판문점 방문의 모법이라 할 수 있는 유엔사 판문점 방문규정의 비현실적이고 실제 상황에 동떨어진 내용을 바꿔야 할 것이다.
한국군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경비를 맡게 됨에 따라 판문점 방문규정을 새롭게 개정하여 판문점 관광 업무의 제도 현실에 맞게 개선되고 발전된 판문점관광의 모습을 기대한다.
/장승재 DMZ연구소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