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뉴올리언스 시장의 비애

허리케인 ‘카트리나’의 위력은 미국 재즈의 도시 뉴올리언스를 처참한 지옥으로 만들었다.

야당소속 시장으로 시민의 호응을 얻던 뉴올리언스 레이내긴 시장은 대참사 전부터 근본적인 재해위험을 대처하기 위해 연방정부로부터 예산요구를 해왔고, 물관리 시스템에 대한 건의를 강력하게 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힘 없는 조그마한 뉴올리언스시장의 목소리는 허공의 메아리로 들린 것이다.

우리가 배워야 할 교훈이 있다. 지방의 상황은 지방일꾼이 가장 잘 알고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는 것이다. 지금 수원시와 인근 도시들이 중앙정부에 최소한의 요구사항이 있다. 정부의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하면서 이전대상 부지에 미니신도시라는 아파트 건설을 주요사업으로 하는 일방적인 계획을 발표해 경기도와 수원시 그리고 용인시가 반대의 입장을 분명히 밝힌 바 있다.

민선3기에 들어서부터 최대한 인구유입억제 계획과 낙후지역 개발이라는 도시 기본계획정책 중 ‘광교테크노밸리개발’과 ‘서수원금호지구개발’을 끝으로 인구 약 120만 정도의 도시가 미래 2020년 수원시의 도시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앙정부에서 말하는 60여만평에 아파트 등 주거시설이 조성되면 10만이상의 인구가 더 늘어날 것이다. 현재 수원시민이 필요로 하는 것은 아파트나 주거시설이 아닌 녹지공간과 주민편익시설이다. 그나마 수원시에서는 통합적 물관리 시스템과 환경시설의 주민환원정책으로 2004년도에 전국자치단체 중 최우수 그린시티로 선정될 만큼 자구노력으로 자타가 공인하는 환경을 생각하는 기초자치단체가 된 현실이다.

또 수원시에서 낙후됐다는 지역주민의 한탄 민원이 많은 서수원지역에 도시배후시설로는 결코 환영받지 못하는 지하철 주박소 건설에 대해서도 수원시의 입장은 주민의 뜻을 받아들여 원칙적으로 반대 입장을 강력하게 밝힌 바 있다.

물론 정부의 수도권 광역전철망 시대에 역행하자는 내용은 아니다. 다만 지역주민이 요구하는 주박소 설치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와 지하화 요구를 받아들여 달라는 것이다.

그 도시의 미래는 지역주민과 지방자치단체가 만들어 가는 것이다. 중앙에서 주도하는 지방의 미래비전도 지방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이 이번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남긴 교훈인 것이다.

/하 정 우 수원시정무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