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월드컵이 시작되면서 온 국민이 축제에 휩싸여 있다. 더욱이 토고와의 첫 경기가 짜릿한 역전승으로 장식되면서 축제의 열기는 더욱 달아오르고 있다.
지난 2002년 한일 월드컵을 통해 맛보았던 축제의 환희를 다시 느끼고 싶은 뜨거운 열망들이 거리와 직장, 가정을 불문하고 넘쳐나고 있다. 온갖 언론과 광고매체는 온통 월드컵 관련 소식으로 도배가 되고, 시민들은 밤의 축제로 이어지는 월드컵 경기를 관람하느라 잠 못 이루는 날들도 즐겁게 감수하고 있다.
사람들은 저마다 경기결과를 예측하고 우리 축구팀의 선전을 기원하고 있지만, 무엇보다도 지난 2002년 온 국민이 경험했던 그날의 열정과 일체감에 대한 추억과 재현에 더 많은 기대와 희망을 갖고 있는 듯하다.
2002년 그 날에 온 국민은 거리와 광장에서 목이 터져라 ‘대한민국!’을 외치고, 누군지도 모르는 옆 사람과 어깨동무하고 팔짝팔짝 뛰었다. ‘붉은 악마’의 색깔과 휘장을 온 몸에 두르고 오랫동안 우리 가슴을 짓누르던 레드 컴플랙스(red complex)와 데블 컴플랙스(devil complex)를 날려버렸다.
2002년 그날의 몸짓은 단지 축구에 대한 열정이나 관심이 아니라 한 마디로 축제에 대한 기대와 열정이었다. 가슴을 짓누르는 온갖 억압이나 규제, 업무적 스트레스, 그리고 삶의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고 되풀이되는 일상의 무료함에 대한 저항이자 해방의 몸짓이었던 것이다.
현대인은 일상생활 속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축제이벤트를 추구한다. 소위 ‘축제하는 인간’ 호모 페스티부스(homo festibus)인 것이다. 축제가 필요한 이유는 갈수록 확대되는 사회적 억압과 규제, 일상의 스트레스와 무료함으로부터의 일탈이며 해방인 것이다.
이번 월드컵 축제가 단지 우리 선수단의 성적에 연연하지 않고 호모 페스티부스적 인간을 찾아가는 축제의 향연으로 펼쳐지기를 기대해 본다. 마음껏 소리 지르고 온 몸으로 뛰어오르면서 가슴 속 응어리를 풀어 헤치고 너와 내가 하나 되는 축제의 한 마당을 즐기기 바란다.
/이정진 오산대 이벤트연출과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