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시설과 지역사회의 벽

김형수 (사)한국삶의질연구원 이사
기자페이지

우리의 고령화 속도는 너무 빠르다. 인천도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7%를 넘어섰다. UN이 규정하는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것이다. 구미 선진국들에 비해 준비할 시간 없이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빠른 고령화를 경험,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자원조달과 서비스 개발 등 급격한 사회변동에 대처할 제반조건들을 갖춰나가기 어렵다는 심각한 현실에 당면하고 있다. 전체 인구중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7% 이상을 점유하는 고령화사회에서 14% 이상이 되는 고령사회까지 프랑스는 한 세기가 넘는 115년을 거쳐 왔고 미국 72년, 영국 47년, 일본 24년 등이 걸렸다.

우리는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지난 2000년 이후 고령사회까지 18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화문제는 단순히 편의를 위한 복지서비스 제공만으로 해결할 순 없다. 노년기 연장에 따른 개인은 물론 전체 사회 비용과 자원 등도 확대된다. 대표적인 과제가 노인부양 부담이다. 지금 우리는 생산가능인구 8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는 것과 같고 오는 2020년은 5명, 오는 2030년은 3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 새로운 변화의 시각이 필요하다.

노년기 경제·신체· 심리적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선 노년기 이전부터 노후에 대비하는 기술과 방법을 배우고 익히는 일이 중요하다. 지난달 중순 보건복지부가 주관하고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수행한 사회복지시설 평가에 참가했다. 대상은 60세 이상부터 97세 정언년 할머니 등이 살고 있는 사할린동포복지회관과 치매 중풍 등 중증 질환노인들이 입소한 노인전문요양시설 등이었다. 민·관이 맡은 노인부양현장에서 자원봉사자들의 땀을 느낄 수 있었다.

노인시설과 지역사회 벽을 낮추는 노력과 전문성 등이 매우 부족하다는 사실도 깨달았다. 구미 선진국들의 노인시설들이 일반주거시설과 어울리는 모습으로 건립되고 노인들의 스스럼없는 모임의 장소로도 활용되고 있음을 볼 때 비정상적인 노인들의 수용시설로 생각하는 우리의 현실은 안타깝다. 인천의 노인요양시설들이 지역사회와 융화되기 위해선 치유의 ‘복지’ 개념을 바탕으로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교육’의 전문성을 보완해야 한다. 찾아가고 찾아나서는 이웃처럼 교류가 활성화되고 지속되는 계기로 한가위 연휴를 기대한다.

/김형수 (사)한국삶의질연구원 이사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