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민 안전 누가 수호(?)

강경하 인천경실련 사무국장
기자페이지

지난 2월 LNG 생산기지 가스누출은 생명의 소생을 알리는 봄의 길목에서 인천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소식이었다. 인천을 넘어, 인천으로 쏟아지는 전국 각지의 시선과 기대까지도 산산이 부서트릴 비보였다고나 할까. 규정대로라면 송도 LNG생산기지로부터 주거지역까지의 이격거리가 16㎞ 이상 돼야 하지만 송도국제도시와 3㎞, 연수구와 불과 8㎞ 정도 밖에 떨어져있지 않다니 놀랍다.

그야말로 거대 위험시설물을 옆에 끼고 사는 격이라 할만하다. 설마 그럴 리가 없길 바라지만 만약의 사태를 가정한다면, 한국가스공사는 인천 시민들의 안전을 담보로 엄청난 일을 벌인 것이다.

그동안 책임주체인 한국가스공사는 1년6개월 전 파악한 관련 사고를 이제까지 숨겨왔고 송곳 같은 비난여론이 들끓자 부랴부랴 해명에 나서면서 부분보수를 전면보수로 변경하는 등 실망스런 모습만을 보여준 터이기에 최근 이격거리 관련 소식은 인천시민들에게 충격을 더해 주고 있다. 그나마 실날같은 기대를 가졌던 게 인천LNG생산기지 안전대책협의회이다. 관리감독권을 갖고 있는 산업자원부와 관리감독권을 가져야 할 인천시와 연수구, 그리고 기초의회, 전문가와 한국가스공사 및 유관기관, 그리고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안전대책협의회는 관련 정보를 공유, 누설원인과 안전대책 등을 찾으려는 기구다.

그러나 첫 회의 이후 들려온 소식은 한국가스공사가 지급한 회의수당의 뇌물성 논란으로 얼룩져 버렸다는 것이다. 결국 한국가스공사에 대한 지역사회의 여론이 아직도 해소되지 않았다는 방증일 게다. 다른 한편 직접적 피해지역의 단체장들은 무엇을 하고 있느냐에 대한 보이지 않는 저항이기도 하다.

지난 10일, 1개월만에 열린 안전대책협의회 제2차 회의에서도 주체가 누구여야 하느냐에 대한 시원한 답변이 나오지 않았다. 여전히 인천시민사회에 피해를 준 한국가스공사 주도의 운영을 묵인하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 안전대책협의회 안에선 정보를 공개하겠다는 약속도 내동댕이치는 결정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인천의 입지적 조건으로 인해 많은 위험·혐오시설들이 산재해 있다. 그동안 국가기간시설이란 명분으로 무사통과식의 시설운영이 가능했는지 모르지만, 이제는 시민사회의 안전의식이 예전 같지 않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지금이라도 시민사회가 요구하는 지방정부 주도의 공정한 협의회 운영과 정보의 공개가 이뤄져야만 한다.

/강경하 인천경실련 사무국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