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4월14일 ‘GTX(Great Train eXpress) 수도권 교통혁명 선포식’을 개최하고 수도권을 한 시간대 생활권으로 묶을 수 있는 광역급행철도의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발표하였다(경기일보 4월15일자 1, 3면). 고양 킨텍스와 화성 동탄 구간 74.8㎞, 인천 송도와 청량리 구간 49.9㎞, 군포 금정과 의정부 구간 74.8㎞ 등 총 145.5㎞의 급행철도망을 구축하여 경기도와 인천 각 방향에서 서울로의 접근을 평균시속 100㎞의 쾌속으로 처리하는 획기적인, 아니 그야말로 교통에 있어서는 혁명적인 계획을 마련해서 이를 중앙정부에 건의한 것이다.
그동안 수도권의 지하철과 전철은 역간 거리가 짧고 노선이 굴곡되어 있어서 통행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현재 수도권 주민들이 출퇴근 시 철도를 이용하는 비율은 20% 수준으로 다른 나라의 70% 수준에 비해서 매우 낮은데, 이는 저속철도가 원인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수도권 2기 신도시들이 건설되면서 서울 도심에서 40~50㎞ 떨어진 곳까지 생활권이 확장되었는데 평균시속 100㎞의 급행철도가 운행될 경우 서울 중심부까지 30분이면 도착할 수 있기 때문에 승용차를 이용하지 않고 서울을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많아 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되면 매일같이 출퇴근 시간에 정체가 발생하고 있는 경부고속도로, 자유로, 올림픽대로와 같은 도로의 여건이 훨씬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승용차를 이용하지 않게 되면 에너지 소비도 줄일 수 있고, 이산화탄소 배출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일석삼조의 효과를 얻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광역급행철도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먼저 경기도 공간구조 체계와 어떻게 연계할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수도권의 생활권이 지속적으로 확장되면 광역급행철도도 현재 계획된 구간을 연장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될 것이므로 도시개발과 연계한 확장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광역급행철도망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최근에 중앙정부에서 개발제한구역의 일부 해제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는데, 광역급행철도의 역세권을 중심으로 보금자리 주택공급 뿐만 아니라 상업, 업무기능이 갖추어진 복합도시가 개발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는 중앙정부와 수도권 3개 시·도간에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한 협조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분담해야 하는 사업비는 둘째로 치더라도 환승역 위치, 환승요금체계 등 협의해야 할 사항이 무척 많다. 이를 위해서는 매일같이 교통으로 인해 고통당하고 있는 주민의 입장에서 어떻게 하면 출퇴근 스트레스를 날려 버릴 수 있을지 관계 기관이 행정구역의 벽을 뛰어 넘어서 함께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야 할 것이다.
수도권 철도의 급행화 방안은 과거에 서울시가 교통정비계획에서 제시한 바가 있으며, 국토해양부에서도 2006년 말 ‘대도시권 광역교통 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수도권 급행철도계획을 제시하였다. 계획만 세울 것이 아니라 이제는 실행이 필요한 때이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건설비로는 총 14조원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민간자본 60%와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에서 발생하는 이익금 20%를 활용하게 되면 정부재정은 20% 정도 밖에 들지 않는다고 한다. 이제는 중앙정부도 더 이상 예산 없다는 핑계는 그만하고 수도권 주민들이 좀 편하게 다닐 수 있도록 노력해 주길 기대해 본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