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존 바이러스 외부 확산 우려…방역활동 당분간 지속
농림수산식품부는 설 명절에 구제역 발생지역이나 축산농가 방문을 자제하고 부득이한 방문 때는 철저한 소독과 축사접근 금지를 요청했다.
농림수산식품부 하영제 제 2차관은 10일, 설명절과 개학,농번기 시작,기온 상승 등에 따라 유동인구가 늘어 잔존하고 있을 구제역 바이러스가 외부로 확산될 우려가 있다면서 이번 설명절 때 구제역 발생지역이나 축산농가 방문을 자제해 달라는 대국민 당부사항을 발표했다.
하 차관은 가능하면 이번 설 명절에는 구제역 발생지역과 축산농가 방문을 자제하고 부득이 하게 방문할 때는 차량 내외부 뿐 아니라 사람도 분무형 소독기로 소독할 것과 가능하면 축사에 접근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특히 경기도 포천시 등을 방문할 때는 통제초소에서 소독 등으로 불편이 있을 수 있다면서 구제역 조기종식을 위해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다.
또 최근 중국 베이징 등 인근국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해 해외로부터 구제역의 국내유입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연휴기간 동안 해외여행을 가는 경우에는 현지 농장 방문이나 동물과의 접촉을 하지 말고 귀국시에는 고기류 등 축산물을 가져오지 말라고 부탁했다.
아울러 귀국후 72시간이 경과하기 전에는 국내의 축산농가 방문을 자제해 줄것도 요청했다.
농림부는 2월에서 6월은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 AI 발생 가능성이 높은 시기로 6월 지방선거 시기와 연결될 가능성을 감안해 이를 조기에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검역원과 지방자치단체, 축산농가의 협조체제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농림부는 또 9일 일부지역의 가축 이동제한을 해제했지만 이는 구제역 위험도가 낮아지거나 종식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면서 이동통제 초소의 운영과 축사 내외부 소독 등 기존의 차단방역활동은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농림부는 최근 베트남 등 동남아 일부지역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함에 따라 여행객을 통한 유입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가금류 사육 농장에 대해서는 철새 도래지 방문 자제와 농장과 주변에 대한 철저한 소독 등을 요청했다.
농림부는 이밖에 농가의 차단방역 소홀로 악성 가축질병이 발생한 농가에 대해서는 축산업 전체에 대한 피해 방지 측면에서 일정기간 가축사육을 제한하는 방안도 논의해 가기로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