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 인력 수급 정책

김현태 경기도약사회장

정부는 최근 미래의 신성장동력의 하나인 바이오제약산업을 이끌어 갈 인재 확보를 위해 약대를 신설하고 약대 정원을 증원하였다. 약사회에서도 앞으로 우리나라가 선진국에 진입함에 따라 약사 인력이 더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고 약학대학 입학정원을 350명 정도 증원하는 문제에 대해 대승적인 차원에서 동의를 한 바 있다.

 

정부에서는 당초 7개 약대를 신설하고 50명씩의 정원을 배정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정부가 15개 약대를 신설하고 정원을 20~25명으로 배정한 것은 약학교육의 부실화를 초래할 것이 심히 염려된다. 이번 결정은 지역 민심을 염두에 둔 눈치보기식 배정이라는 비난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학과는 적정 규모가 있다. 적정 규모가 되어야 그에 따라 각 분야별 교수를 뽑고 그에 합당한 기자재와 실험실도 갖출 수 있다. 20명 정원의 약대에 약학과와 제약학과 두 과로 나누어 10명으로 학사 운영을 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는 기형적 모습이다. 학년이 올라가면서 군 입대로 남학생 몇 명이 빠져버리면 강의가 제대로 이루어질지도 의문이다. 약사 인력 수급은 정치적으로 접근해서는 절대 안될 일이다.

 

또한 약사 수가 늘어나도 정부의 의도와는 달리 바이오제약산업으로 진출하지 않고 약국 개설만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약사들 간에 더 큰 위기감을 불어넣고 있다.

 

약사의 상당수가 졸업 후 제약회사에 근무를 하다가 개국을 하고 있다. 약국을 개설하고 몇 년 후 다시 제약회사로 자리를 옮기고 싶어도 거의 불가능한 게 현실이다. 그러다 보니 제약회사와 약국 간의 인력 이동은 한 방향으로만 이루어지고 있어 제약회사에서는 약사가 모자란다고 아우성이고 개국 약사는 약사가 너무 많다고 아우성이다. 개국 약사 중에는 석사나 박사학위를 소지한 약사도 상당히 많다. 그래서 약사 인력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예를 들면 개국 약사가 제약회사 근무를 원하는 경우 실업급여를 제공하면서 6개월 정도 직무훈련을 받을 수 있다면 충분히 제약 인력으로 복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