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를 맞을 무렵부터 지금까지도 사회각계에서는 문화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문화가 중요하다’,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다’, ‘문화 수준이 높아지지 않고는 경제성장은 더 이상 없다’는 등 문화를 강조하고 찬양하는 목소리가 높게 울려 퍼지고 있다.
문화의 개념은 계속 변화해 예술적 문화관에서 삶의 방식을 아우르는 지역 정체성, 제도, 정치, 산업 분위기, 장소 의식, 삶의 질에 기여할 수 있는 보다 넓은 요소들까지 포함하는 광의의 문화관으로 문화에 대한 인식이 확대돼 왔다.
이런 가운데 대부분의 지자체장들이 문화를 강조하는 차원에서 문화도시란 구호를 외치고 있는 것은 삶의 질의 쾌적함을 강조하는 한편 장소판촉을 위한 ‘문화 상품화’를 만들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장소는 문화의 얼굴이기도 한 개성 내지 고유성이 특징이다. 그곳엔 고유한 자연, 풍물, 민속, 특산물 그리고 역사의 시련을 이겨낸 삶의 향기가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장소를 판촉하는 데 있어 ‘백문이 불여일견’이라는 말이 있다. 그 지역에 와서 보고 느껴보지 않고서 진정한 장점을 이야기할 수 없듯이 외지인들이 장소를 찾게 하고 그들의 행태를 관리하는 것이 바로 문화가 맡아야 할 기능이다.
그러나 장소판촉은 지역이미지 향상으로부터 지역 스스로 강력한 자생력을 배양하지 않으면 안되는 현실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으므로 각 지자체는 독자적인 방안 마련에 부심하지 않을 수 없는 입장이다.
이러한 현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중의 하나는 자기 지역에 대한 문화와 더불어 삶의 터전의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사람이나 어떤 장소에 대한 이미지는 대부분 그 지역의 문화에 의해 형성된다.
그동안 관념적이고 이론적으로 설명돼 왔던 지역의 이미지를 한 차원 높이기 위한 실천적 사업은 바로 장소의 체계적 육성을 통해 성취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지자체는 장소판촉을 위해 여러 핵심적 장소를 육성하고 그를 통해 체험적 이미지를 재현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김희병 ㈜어반플레이스 대표이사 도시계획기술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