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가 있는 아침
탑이 춤추듯 걸어가네
5층탑이네
좁은 시장 골목을
배달나가는 김씨 아줌마 머리에 얹혀
쟁반이 탑을 이루었네
아슬아슬 무너질 듯
양은 쟁반 옥개석 아래
사리합 같은 스텐 그릇엔 하얀 쌀밥이 사리로 담겨서
저 아니 석가탑이겠는가
다보탑이겠는가
한 층씩 헐어서 밥을 먹으면
밥 먹은 시장 사람들 부처만 같아서
싸는 똥도 향그런
탑만 같겠네
식당 아줌마가 땀을 뻘뻘 흘리며 무슨 염원처럼 켜켜이 쌓아올린 쟁반을 이고 좁은 골목길을 헤치며 간다. 저런 밥상을 받아들 자격은 아무에게나 있는 게 아니다. 그 밥 먹고 노는 사람 하나 없는, 밥 먹으러 갈 시간이 없는 시장 사람들이야말로 생불이다. 눈코 뜰 새 없는 생불들에게 나눠줄 공양을 머리에 이고 나르는 아줌마는 쟁반 탑신을 떠받치고 걸어다니는 연화대이다. 그렇다, 저자에 道(도)가 있다. 거기 어디쯤 공중변소에 소복이 차오르는 똥탑! 그것이 우리네 먹고사는 문제의 결론이다.
<이덕규 시인>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