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곳곳의 뉴타운·재개발사업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찬성과 반대로 갈라진 주민들이 잇따라 집회를 개최하며 상대방을 공격하는 등 갈등의 골이 깊어져 지역사회를 양분시키고 있다.
14일 경기도와 부천시 등에 따르면 현재 도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뉴타운 사업은 12개 시·군 21개 지구로, 평택 안정지구는 지난1월 주민들의 반대로 지구지정이 해제된 상태이며 군포 금정지구는 3년동안 촉진계획을 수립하지 않아 지난해 9월9일 효력이 상실됐다.
또 부천 소사·원미, 안양 만안, 광명 등 총 20여개 지구의 지정취소 소송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부천지역의 경우 지난 2005년부터 원미지구 10개 구역, 소사지구 26개 구역, 고강지구 13개 구역 등 모두 3개 지구 49개 구역의 뉴타운 재개발 사업이 추진·진행 중이지만 2월 현재 건축심의를 거쳐 사업시행인가가 진행 중인 지역은 소사 9-2D지구이다.
이처럼 사업자체가 지지부진한 것은 부동산 경기가 침체돼 사업추진이 늦어지면서 주민간 갈등이 더욱 깊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비대위, 뉴타운ㆍ재개발 전면중단 촉구 집회
부천연합회 “조속한 추진이 피해 최소화” 찬반 팽팽
부천지역을 중심으로 뉴타운 재개발사업에 대해 첨예한 갈등으로 청와대와 정부기관에 진정서를 제출하고 지역마다 연일 반대 집회가 이어지고 있다.
이날 경기뉴타운재개발 비상대책위원회 연합은 부천역 남부광장에서 서울, 부천, 안양, 의정부, 군포, 구리, 평택 비대위 주민들 4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뉴타운·재개발 전면중단, 폐지’촉구를 위한 국민운동 집회를 가졌다.
집회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뉴타운 재개발사업은 이미 실패한 사업이고, 최근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전세대란과 월세폭 등이 잘못된 재개발정책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이들은 “재개발사업이 주거약자인 서민들을 내쫓고 국가와 시공사가 주민의 재산을 착취하고 있어 주민들의 생활이 더욱 궁핍해져가고 있다”며 “재개발 문제해결을 위해 오는 24일 대규모 국민운동 출범대회를 갖는다”고 밝혔다.
반면 뉴타운 재개발을 찬성하는 부천시 정비사업 총연합회측은 “하루 빨리 사업을 마무리하는 것만이 주민들이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이며 민간투자 재개발 방식으로 뉴타운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합회측 관계자는 “지역 주민들의 정확한 민심을 파악해 뉴타운 재개발 사업을 과감하게 처리해야 한다”며 “이를 반대하는 정치인들은 내년 총선에서 주민들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부천=김성훈기자 magsai@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