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흥미·적성에 맞는 진로교육

직업 세계의 급변과 입시제도의 다양화, 입학사정관제 실시 등으로 학교 현장에서 진로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어느 때 보다도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학생들은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공부가 나의 진로와 얼마나 연계되어 있는지 잘 모르기 때문에 공부에 대한 흥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공부만 잘하면 좋은 대학에 가고, 좋은 대학에 가면 좋은 직업을 얻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는 막연한 기대 속에 오늘도 점수 높이기 경쟁을 하고 있다.

 

원인은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진로교육 부재도 큰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진로교육은 개인이 자기 자신과 일의 세계를 인식하고 탐색하여 자기 자신에게 적합한 일을 선택하고, 선택한 일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가르치고 도와주는 활동이다.

 

그런데 우리 현장을 보면 진로교육 전문가도 부족하고, 학생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진로교육 프로그램 보다는 입시위주의 편협한 진로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 진로교육에 대한 행정 지원이 일원화 되어 있지 못한 비효율적인 지원 체제로 보완이 시급하다. 학생이나 교사나 학부모가 진로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어려움을 겪고, 학교 교사를 제외하고는 마땅이 진로에 대해 상담 할 곳도 없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이틈을 타 일부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진로서비스를 전문화한 또 다른 사교육 시장이 형성되고 있어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한다.

 

진로교육은 학교 안에서 전문 상담교사에 의해 체계적으로 학교 교육과정과 연동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와 같은 단순한 진학, 직업 지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학생 개개인의 소질이나 적성에 맞게 선택권을 확대 해주어야 한다. 아울러 진로에 대한 실질 경험을 얻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및 산학 연계 체제를 구축하여 진로 탐색의 기회가 확대돼야 한다.

 

늦은 감이 있지만 우리 연구원에서는 ‘경기도 진로진학 지원센터’를 개설하여 2학기부터는 양질의 진로진학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미래세대를 위한 진로진학 지원에 우리 모두의 지혜를 모았으면 한다.

 

허봉규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