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소단위 지역단체장의 위상과 역할은 그 영향력이 매우 중요하게 확대됐다. 어떤 생각을 가진 단체장을 만나느냐에 따라 지역의 발전은 물론 지역에 살고있는 주민들 삶의 질과 변화의 방향이 바뀌게 된다. 최근 서울시장의 자리를 걸고 주민의 뜻을 묻는 주민 투표의 논란은 씁쓸한 그 한 예가 된다.
얼마 전 충북 청원군 ○○면을 취재차 들른 적이 있다. 조그만 면의 단체장인 이 면장과 주고 받았던 이야기들은 오래 동안 기억에 남아있다. 면장은 자연 속에 있거나 도심 속에 있거나 늘 들려오는 소리들을 귀 담아 듣는데 열중한다고 했다. 자연을 향해 한 귀를 열고 주민들을 향해 또 한 귀를 열어 그들의 목소리를 들으려는 한 면장의 지역과 주민을 향한 관심과 진정성을 읽을 수 있었다.
면내를 흐르고 있는 금강을 끼고 가다가 강원도 깊은 산을 방불케하는 산골짜기 입구에서 우리는 차를 세웠다. 진장골이라는 곳이었는데 산세가 험하고 나이 먹은 나무들이 즐비하게 서있었다. 면장은 이곳에다 인간과 자연이 접할 수 있는 다양한 계획을 세우고 있었고 그 계획은 이미 진행되고 있었다.
10㎞쯤 되는 험로 사이에 마른 솔잎을 깔아 솔밭길을 냈다. 도시를 탈출해 자연을 찾는 자들에게 이 청정지역에서 맨발로 솔잎 위를 걷게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지난 겨울 눈사태로 쓰러진 죽은 노송들을 주워다가 주민들이 깎고 다듬어 다양한 의미와 전설이 담긴 장승 400개를 솔밭길 가는 길 양쪽에 세워놓았다. 이 밖에도 인간이 자연과 접할 수 있는 지역 특성을 살린 계획들을 일일이 설명하는 면장의 자연사랑의 모습은 매우 진지했다.
이 모든 계획은 자연을 누구보다도 소중하게 생각하는 면장에게 면 단위 예산의 자율적 운영을 위임한 어떤 군수의 꽤 괜찮은 행정적 방침과 지원에서 비롯되었다고 했다.
인간의 온갖 행위는 자연에서 비롯되고 자연과 함께 한다 잃어버린 근원에 대한 현대인의 동경과 그리움의 중심 대상은 예나 지금이나 역시 자연이다. 자연은 고향, 어머니의 기호로 대변되기도 한다. 이러한 자연을 향토적 터전으로 삼고 자연 속에 살면서 정말 자연으로 인간을 이끌어가고 싶어하는 한 지역의 면장과 하루를 같이 보내면서 마음이 유쾌했다.
네팔을 여행했을 때 들은 이야기가 있다. 네팔 여인들이 산에 나무하러 가서 나무 하기 전에 하는 일은 신에게 먼저 기도를 드리는 일이다.
“신이여, 당신의 것을 조금 가져다 쓰겠습니다. 용서하십시오.”
그 이야기는 긴 시간 지나도 잊혀지지 않았다.
환경운동을 벌이고 있는 또 한 시인으로부터 이런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인간은 동물이나 식물보다 사악하다. 그 이유는 출생할 때 제일 처음 자연물이 아닌 인공적인 것들 위에 떨어지기 때문이다. 동물들은 출산할 때 새끼들을 자연 속에 떨어뜨린다. 풀잎이나 흙, 모래 속, 자갈, 물 속, 나무껍질, 그루터기 등. 그러나 인간의 출산은 펄프를 화공약품으로 강하게 소독한 하얗게 질린 시트나 종이 위에 최초로 떨어져 티슈로 눈물, 콧물, 침을 닦고 소독된 종이기저귀에다 배설하며 자란다. 그 시인의 말에 따르면 이것이 인간을 메마르고 사악하게 만든다라는 것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우리 어머니들이 출산할 때에는 방에다 짚을 깔았었다. 아기는 무명 홑이불에 싸여 짚 위에 최초로 뉘어졌다가 어머니 품에 안겼던 것이다.
날이 어두울 때까지 면장과 산 속을 걸었지만 조금도 피곤하지 않았다. 자연 속에 파묻혀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하루 종일 도심 속에 사는 자연에 허기진 사람들에게 대체물로서의 자연을 접하게 하려고 다양한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있는 촌부 같은 한 면장의 일하는 모습과 진정성은 이 시대의 모든 지자체 단체장들이 바라봐야 할 모습이 아닐까 생각한다.
최문자 시인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