前 원장·사무국장 업무상 횡령혐의로 벌금형 선고 이사진 “市, 사무국장 징계 부당” 기존 문화원 운영 부원장 “신뢰·공정성 없다” 또 다른 문화원 조직
군포문화원이 지난 1994년 4월 창립된 후 9대 문화원장을 배출하며 지역문화 창달에 공헌해왔지만 지난 3월21일부터 내부 갈등으로 이원화되어 문화원이 둘로 갈라져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군포문화원은 김민재 원장 체제로, 새로운 군포문화원은 박계일 원장직무대행 체제로 각각 운영되고 있다.
이처럼 군포문화원이 서로 정통성을 주장하며 이원화로 운영되는 것은 기존 송모 원장과 문모 사무국장이 업무상 횡령혐의로 지난해 8월 벌금형을 선고받았기 때문이다.
이에 시는 문화원의 정관과 인사규정대로 징계를 요구, 송모 원장은 지난 3월30일 사직서를 제출했지만 문모 사무국장은 징계 요구를 거부한 채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기존 군포 문화원 이사 11명은 문 전 사무국장에 대한 시의 징계요구가 부당하다는 입장을 보이며 시의 요구를 거부, 이로 인해 시 예산지원이 중단된 채 기존 문화원을 운영하고 있다.
반면, 박계일 부원장은 정관에 따라 지난 3월25일부터 직무대행체제로 시 지원을 받으며 또 다른 문화원을 조직해 문화원사에 입주, 운영하고 있다.
■ 한지붕 두가족 군포문화원 입장
기존의 군포문화원은 업무상 횡령(후원금 임의사용) 등의 이유로 벌금형을 받았다는 이유로 시가 문화원 문모 사무국장을 징계, 해고하라는 것은 부당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시의 문모 사무국장의 해고 요청에 대해 기존 문화원은 정관과 인사규정에 의거, 징계이사회에서 문 사무국장을 재신임했으며 이같은 사실을 시에 충분하게 설명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시가 문화원 실무책임자인 사무국장의 도덕적·법적 흠결을 이유로 시 예산을 집행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반복적으로 발표하는 것은 그만한 속사정이 있다고 기존 군포문화원은 보고 있다. 시가 자기 사람 심기와 코드 인사를 단행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이사회에서 재신임을 받은 사무국장의 해임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기존 문화원측은 시가 대행체제를 인정한다 해도 예산을 기존의 사단법인 단체한테 예산을 집행해야지 대표 개인에게 예산을 집행하는 모순된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새 군포문화원측은 문화원 사태의 발단이 송 전 원장과 문모 사무국장의 공금횡령에서 비롯된 것으로 향후 문화원의 운영은 신뢰와 공정을 바탕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는 ‘벌금형 외에 사문서 위조로 기소된 문모 사무국장의 조속한 사퇴만이 빠른 시간 내에 군포문화원을 정상화시키는 방안이라고 보고 있다.
이와 함께 기존 문화원의 보여주기 위한 전시행사 위주이어 벗어나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문화원 고유 사업에 치중해 전통문화를 계발하고 보급하는 임무에 충실해야 주민과의 문화 소통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새 군포문화원은 군포만의 자랑이 되는 지역문화 개발 육성과 소수에 의한 운영이 아닌 역량 있는 다수의 문화 시민이 참여하는 열린 문화원 운영을 추구하며 기존문화원과의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 풀어야 할 과제
문화원이 둘로 쪼개져 운영이 되고 있는 만큼 그 피해는 주민들이 고스란히 받을 수 밖에 없다. 기존문화원과 새 문화원간의 갈등의 골이 깊어질 수록 군포지역의 문화사업을 발전속도가 더딜 수 밖에 없다.
두 문화원 모두 전통을 중시하며 고유업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문화원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문화해설사를 시작으로 전문화된 문화인을 꾸준히 양성하고 아마추어를 위주로 하는 문화인들을 통한 지역문화 발전의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문화예술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문화로 행복해지는 군포를 만드는데 문화원이 앞장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군포 문화계의 주요 원로들이 두 문화원의 갈등을 봉합시키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또 군포문화원의 내부 분란 문제에 대해서는 내부에서 스스로 정리하게 하는 것도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원은 지역 뿌리를 주민과 후진에게 알리기 위해 향토사를 꾸준히 발굴, 보존하고 활성화 시켜야 한다. 여기에는 지자체의 예산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역문화를 이끌어가는 문화원이 지자체의 예산으로 인해 예속되서도 안된다. 문화원의 내부 분란을 하루빨리 정리해 문화예술에 대한 문화역사를 시와 협력함으로써 시민들로부터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군포=이승환기자 leesh@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