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0년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2%에 이르러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는 정부 발표가 난적이 있다. 현 추세로 갈 경우 2018년에는 노인인구비율이 14.3%(716만명)에 달하여 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26년에는 20.8%(1천35만 명)로 초고령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인구 고령화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지만, 고령화에 대한 준비는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책이라야 고령자의 의식주 문제를 해결하는 수준의 정책이 대부분이다. 먹고사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는 계층의 노인들은 이러한 복지가 현실적으로 와닫지 않을 수밖에 없다.
노인들이 살아온 경험과 지식을 최대한 존중한 복지가 이뤄지지 않는 것은 국가적인 손실이다. 젊은 시절 사회 곳곳에서 자신의 역량을 맘껏 발휘하다 퇴임한 직후의 노인들은 자신이 사회에 기여해야 할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지, 보살핌을 받아야 할 대상이라고 절대 생각하지 않는다. 그만큼 그들의 가슴 속에는 삶에 대한 열정과 에너지가 남아있고 무엇인가 할 수 있다는 생각의 끈을 놓지 않는다.
각 처의 복지기관에서는 취미생활과 자기개발 관련 프로그램이 수없이 진행되고 있지만, 일자리 사업이라고는 대부분이 길거리에서 풀 뽑고, 쓰레기 줍는 일이 고작이다. 노인들이 지금까지 해온 일과는 아무 상관도 없을뿐더러 보람을 느낄 만한 일과는 동떨어진 것들이다. 퇴직 후 일정 기간이 지속되면 노인들은 대부분 자기 자신을 포기하게 된다. 이들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일,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 보람을 가질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추는 노인복지정책의 변화가 시급하다.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문화원연합회와 전국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향토 자원을 활용한 어르신 문화 프로그램이 최근 주목을 받고 있으며, 노인복지 프로그램의 대세로 부각되고 있다. 어르신들이 지역에 전승되어 내려오는 의식주와 같은 생활문화나 놀이와 생업과 관련 있는 전통문화를 시대적으로 재해석해 이를 1~3세대가 공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내고 보급해 나가고 있다.
이 같은 프로그램들은 순수 토종 노인복지의 모델로 지역사회 노인문화에 생동감을 불어넣어 주고 있다. 노인들을 배려하고 보살피는 일반적인 복지보다 노인들이 사회를 위해서 일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쌍방향적 복지가 훨씬 효율적이며 지속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결과를 가져다준 사례가 된 것이다. 노인복지 프로그램에서의 창의성과 지역성이 고령화 사회를 해결하는 새로운 해법이 될 수 있다는 교훈을 남겨준 셈이다.
오용원 경기도문화원연합회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