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구시가지 재개발 사업이 경기 침체, LH의 사업 포기 선언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지역 실정, 사업 추진 상황에 맞춘 새로운 ‘출구전략’을 찾아야 한다는 정책 제안이 나왔다.
성남시민사회포럼(공동대표 이덕수·박연희·정기남)은 1일 성남시청 율동관에서 도시계획 전문가, 정당 정책전문가, 주민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성남 구시가지 재개발 대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를 가졌다.
주제발표자로 나선 정석 교수는 “지금처럼 사업성이 떨어지는 재개발을 그대로 밀고 가기는 힘들다”며 “서울시의 두꺼비하우징과 같은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구체적인 대책으로 공모전과 연계한 ‘마을만들기 시범사업’ 추진, 단독주택 지원제도 확충, 마을만들기 조례 제정, 마을만들기 지원을 위한 행정체계 개편 등을 내놨다.
토론자로 나선 정기남 민주당 정책위 부의장은 “현재의 재개발 사업은 경제 능력이 열악한 서민들로부터 주거 환경을 빼앗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구역 특성을 고려한 개발 모델 도입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정 부의장은 기존의 전면 재개발 방식 외에 민간참여 거점확산형 정비, 공공 주도 거점확산형 정비 등을 예로 들었다.
정 부의장은 또 성남시민사회포럼의 정기여론조사 결과를 소개하며, “재개발 사업에 대한 ‘출구전략’을 적극 검토해야 할 시점이 됐다”는 의견도 내놨다.
박용훈 중3구역 주민대표회의 위원장은 “부동산 투기와 함께 시작된 재개발 사업이 지역 공동체에 갈등과 분열이라는 깊은 상처를 남겼다”며 “부동산 경기의 장기침체와 아파트 수요가 낮아지는 추세를 감안해 공동주택 건설을 전제로 하는 재개발사업에 대한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양종 시티넷 도시마케팅연구소장은 성남시 전체를 생태지역축, 문화지역축, 창조지역축 등 3개의 축으로 나누어 장기적으로는 성남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는 도시 재생사업을 제시하기도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