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 간 갈등 넘어야 선진국 된다

요즘 정치권이 2040세대 때문에 패닉상태에 빠졌다. 그들과 소통하지 않고서는 아무것도 될 게 없다. 하지만, 그들은 기성 정치권은 무조건 싫다고 한다. 지난 서울시장 선거 결과는 분노의 결정체였다. 정당을 거부하고 변화를 요구했다. 살길을 찾아 달라는 소리 없는 아우성이었다. 그러함에도 여야 정치권은 모두 딴 생각뿐이다. 반성은 말뿐이어서 아쉽다.

 

당장 코앞에 닥친 내년 총·대선 묘수 찾기가 급한 듯하다. 사실상 서울시장 선거에서 여야는 모두 패자다. 확인된 게 있다면 집권 한나라당은 국민의 반감(反感)이 얼마만큼 컸었는지를 분명히 안 것이고, 민주당은 후보조차 낼 수 없었던 공당(空黨)이라는 것이 전부다. 그래서 그들의 고민은 더욱 깊어질 수밖에 없다. 서울시장 선거의 판세를 뒤흔든 것이 ‘안철수’와 ‘분노한 젊은 층’임은 분명하다.

 

지난 2007년 대선 때가 생각난다. 그때 모든 국민, 특히 젊은 세대들은 경제 대통령 만들기에 표를 모았다. 바닥부터 출발해 최고전문경영인(CEO)이 돼 신화를 이룬 이명박 대통령은 뭔가는 달라도 다를 것이란 기대감에 들떠 있었다. 그리고 4년이 지난 지금 국민의 실망이 큰 것 같다.

 

영암 대불공단 전봇대를 뽑아낼 때만 해도 이명박 대통령은 국민에게 희망 그 자체였다. 그러나 국정운영이 거듭하며 2040세대들과 거리가 벌어졌다. 20대는 비싼 등록금과 취업난에 방황해야만 하는 게 현실이다. 가정을 꾸민 30대는 집이 없어 또 헤매야 한다. 전세금 마련에 이어 대출금 상환이 걱정이다. 과거 40대면 중산층이라 했다. 중산층이라 함은 내 집을 마련해 안정된 삶을 누릴 수 있는 일자리가 있음을 뜻한다. 지금 40대는 자녀교육과 일자리 모두에서 불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미래는 불확실하다.

 

지금의 시대를 청년실업, 고용불안, 비정규직, 경제 양극화, 노후대책 실종 시대라 부른다. 다행히 뒤늦게나마 대통령은 0~5세 보육을 국가가 지원하겠다는 내용의 복지정책을 내놨다. 이와 함께 공공부문 비정규직 9만7천명의 정규직 전환도 복지대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박근혜 전 대표는 계층별로 맞춤형 복지정책을 제안하는 등 복지정책을 적극적으로 챙기고 있다. 경제적 약자 보호를 위한 복지정책은 매우 잘한 일이다. 이들 정책은 2040세대들과 거리를 좁히고, 세대 간 갈등을 풀 수 있는 좋은 정책이 될 것 같다. 세대 갈등이 해결되지 않는 한, 대한민국은 선진국 대열에 합류할 수 없다.

 

이현재 전 중소기업청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