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지역 건설업체, 공사 수주해도 적자

“지역실정 맞는 설계·공사비 산정”지적

가평지역 건설업체들이 현실에 맞지 않는 건설품셈으로 공사를 수주해도 적자를 면치 못하는 경우가 늘고 있어 현장여건과 지역실정에 맞는 설계와 공사비 산정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20일 가평군과 건설업체 등에 따르면 최근 지역 내 건설업체들이 소규모 관급공사를 벌이면서 지역실정이나 공사 규모에 맞지 않는 품셈으로 인해 시공 후 적자를 면치 못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특히 소규모 관급공사 대부분은 산간 오지지역으로 현장 진입로가 없어 임시도로를 개설해 장비와 건설자재를 운반해야하는 상황이지만, 임시도로 개설을 위한 별도 예산이 수립되지 않아 현장사업비로 임시도로 공사를 하고 나면 적자를 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 포크레인 등 각종 건설장비 임대료와 자재비, 인건비 등이 상승한 것도 적자경영에 일조하고 있어 소규모 공사는 실적단가를 적용하기 보다는 현장여건과 지역실정에 맞는 공사비를 편성·설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철근 1t당 가격이 75만원에서 87만원으로 15%이상 올랐고, 포크레인 6w 1일 사용 임대료도 10시간 기준 50만원에서 올해에는 8시간 기준 60만원으로 20%이상 인상됐다.

 

또 지난해 보통인부 1일 8시간 기준 8만원에 달했던 인건비가 올해는 10만원으로 오르는 등 각종 자재와 장비 임대료, 인건비 등이 대폭 인상됐으나 지역실정에 맞지 않는 맞춤설계 품셈으로 건설업체의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다.

 

전문건설업체 한 관계자는 “소규모 관급공사의 대부분이 산간 오지지역으로 대형장비 등의 통행을 위해 임시도로를 개설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예산 부족으로 임시도로 개설은 꿈도 꾸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가평=고창수기자 chkho@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