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가 본격화하면서 홍수처럼 쏟아 내는 것이 바로 공약이다. 예전에는 입후보들이 돈으로 선거를 치르는 바람에 일시적으로 경제가 활성화되는 듯한 착시 현상도 있었으나 이제는 그마저도 하지 못하도록 법적으로 막아 놓고 있어 그야말로 공약위주의 깨끗한(?) 선거를 치르고 있는 듯하다.
우리가 잘 알고 있다시피 공약을 제대로 내기 위해서는 먼저 지역의 비전을 세우고 이를 이행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데 현재 어떤 것들이 잘못되어 있다고 점을 밝혀야 할 것이다. 그래서 무엇을 보완하여 어떻게 추진하여야 하는데, 나는 지자체와 정부의 협조를 얻어 이를 어떻게 추진하겠다 하는 것이 바로 공약의 골자라 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한 것은 비전 정립과 또한 해야만 되는 그 무엇이라는 것은 소속 당의 목적과 전략 등과 맞물려서 설정되어야 한다. 만약 당의 지향하고 있는 목적과 맞지 않는다면 당의 지원을 받아내기 어렵고 결국 정부의 도움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 입후보자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선거 공약을 내세운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 같다. 우선 공천과정에서도 후보자가 당선할 수 있는 인물위주로 그리고 각 당의 이해관계로 정해지다 보니 지역을 위한 공약에 대한 고민은 그야말로 뒷전인 셈이다. 이렇다 보니 당의 특징도 없고 공약의 차별성도 찾아보기 어려워 결국 유권자가 입후보자를 선택하기란 쉽지않다.
이제부터라도 입후보자들은 먼저 재래시장으로 뛰어나가기 전에 차분히 앉아서 자기가 속한 지역이 도대체 어떤 모습이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곱씹어 봐야 할 것이다. 또한, 공약은 실행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실행이 답보 되지 않은 공약은 그야말로 공약(空約)이 되기 십상이고 이를 강제적으로 이루려면 상당한 무리수가 따르는 법이다. 공약 실행에는 이를 뒷받침할 구체적인 예산과 이를 조달 방안이 함께 제시되어야 의미가 있다.
후보자들은 이러한 노력을 통해 지역을 대표하는 자신의 역할을 찾을 수 있을 것이고 자신의 소신에 힘을 실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후보자들이 어려운 지역공부를 피하다 보니 정책적 논쟁보다는 치졸한 상대방 흠집 내기에 골몰하게 되고 결국은 유권자들이 실망하게 되는 것이다.
선거가 코앞에 다가왔다. 이번 선거에는 입후보자들이 눈꼴사나운 쌍방 헐뜯기보다는 소신 있는 공약 제시를 통해 지역의 미래를 생각하는 진지한 자리가 조성되었으면 한다.
김준우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학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