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김규석·이경호 교수팀 방사선 노출 최소화 저선량CT 유용성 세계 첫 입증
분당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김규석 교수(사진 왼쪽), 영상의학과 이경호 교수팀이‘충수돌기염’진단에 방사선량을 1/4 줄인 저선량 CT를 사용, 그 유용성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다.
흔히‘맹장염’이라 불리는‘충수돌기염’은 맹장 끝에 붙어있는 충수 돌기에 발생하는 염증으로 국내에서만 매년 9만5천여 명이 수술을 받을 정도로 흔한 질환으로 CT를 활용, 진단을 내린 뒤 불필요한 수술이나 충수가 터지는 천공률을 낮추고 있다.
그러나 CT 사용으로 충수돌기염을 포함, 정확한 진단은 가능해졌으나 CT 촬영 시 방사선 노출에 따른 발암위험 증가 문제는 논란이 되고 있으며 아직껏 명확히 밝혀진 내용은 없는 가운데 방사선 노출을 줄이려는 노력은 전세계 의학계의 관심사로 꼽히고 있다.
이에 김규석·이경호 교수 연구팀은 젊은 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충수돌기염 진단에 방사선량을 1/4 줄인 저선량 CT를 사용, 그 유용성을 세계 최초로 입증해 의학연구 분야에서 권위를 자랑하는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NEJM)’에 논문을 수록했다.
연구팀은 2009년 9월부터 2011년 1월까지 분당서울대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중 충수돌기염 진단을 위해 CT 검사가 필요했던 15~44세 환자 891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 비교임상시험을 실시, 444명은 방사선량을 1/4 줄인 저선량 CT를 촬영했고 나머지 447명은 일반선량 CT를 촬영한 결과 방사선 노출이 적은 저선량 CT로도 진단이 가능한 것을 입증 했다.
충수돌기염 의증으로 수술 후 결국 염증이 없다고 판명된 비율이 저선량 CT 군에서 3.5%, 일반선량 CT 군에서 3.2%로 차이가 없었고 충수돌기 천공률도 저선량 CT 군에서 26.5%, 일반선량 CT 군에서 23.3%로서 차이가 없었다.
충수돌기염은 매년 9만여 명이 수술을 받고 실제로 진단을 위해 CT를 촬영하는 인구는 수술인구의 2~3배에 달하는 것을 감안한다면 국내에서만 매년 20여만명이 충수돌기염 진단을 위해 복부 CT를 촬영하는 셈이다.
김규석 교수는“NEJM에서 이 논문을 채택한 것은 CT 검사 시 방사선 노출 위험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전 세계 의학계의 공통 관심사이기 때문”이라며“충수돌기염에서 저선량 CT의 유용성을 입증함에 따라 충수돌기염 진단에 저선량 CT를 이용하는 것이 표준 방법으로 자리 잡는데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