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고향 남양(南陽)에는 망해루(望海樓)가 있었다. 고려 말 남양부사(南陽府使)를 지내신 정인로(鄭仁老)의 아드님 정을경(鄭乙卿)이 조선(朝鮮) 초에 남양부사로 있을 때에 있었던 일을 삼은(三隱) 중의 한 분이신 목은(牧隱) 이색(李穡)이 지으신 남양부망해루기(南陽府望海樓記)가 전하여온다.
새로 부임한 정 부사(鄭 府使)는 남양부(南陽府)가 삼국시대에는 당성(唐城), 고려 초에는 익주(益州)였고, 이 고을 홍은열(洪殷悅)은 고려태조(高麗太祖)가 처음 나라를 일으킬 때 익대(翊戴)한 공(功)이 있었다.
그의 후손 중에 홍규(洪奎)는 권신(權臣) 임유무(林惟茂)를 베어 정권(政權)을 왕실로 되돌렸으며, 더욱이 문예부주(文睿府主)를 낳으셨으니, 이 분이 충숙왕(忠肅王)의 명덕왕후(明德王后)로 충혜왕(忠惠王)과 공민왕(恭愍王)의 어머니시다.
두 분 임금님의 외가가 있는 상서로운 곳이라 신하된 자는 공경함에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라 생각하고, 밤낮으로 오직 삼가고 공경하고 우선 덕(德)으로 다스리기에 힘을 썼다.
아전들을 교화(敎化)하는데 감히 법으로 대하지 아니하며, 백성을 은혜롭게 대하여 감히 위압을 가하지 않았다. 이렇게 한지 일년이 되니 이 고을 안이 매우 평화로워, 이로운 일은 일어나지 아니한 것이 없고, 해로운 일은 모두 없어졌다(和氣吏不敢加以政 惠其民不敢施以威 朞歲大和 利無不興而害悉去之).
이 고을에는 옛날에 못이 있었는데, 수리하지 아니한 채 오래되어 위에는 고미뿌리가 우거지고 아래에는 앙금이 쌓이니 사람들이 함부로 경작을 하였다. 고을 사람들이 못에 살던 용이 옮겨가서 그런 것이라고 하였다.
정 부사는 연못을 파내고 수축을 하였더니, 검은 구름이 갑자기 일어나고 바람이 불고 천둥을 치며 비가 내리어 용의 꼬리가 연못에 내려와 물이 사흘 동안 끓어 오르고 흰 기운이 뭉게뭉게 일어났다고 한다.
마음의 작용은 위대한 것이라. 마음을 한 번 정하면 온 천하에 족히 못할 것이 없다. 정 부사가 공경하고 조심하는 마음이 환하게 틔어서 막힘이 없기 때문에 드러나기로는 인화(人和)를 가져오고, 그윽하기로는 용과 같은 영물을 오게 하였으니, 이 누각을 창건한 것은 작은 일이니 무슨 말 할만한 것이 있겠는가 하였다.
망해루는 부서져 있었던 곳마저 모르나 다행히 글이 전하여 오니 정 부사의 자세는 우리와 후손들이 한 고을을 다스리려면 명심하여야 할 교훈이 될 것이다.
송홍만 법무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