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는 대장동 도시개발구역과 1공단 부지의 결합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 하기 위해 T/F팀을 구성하고 지난 11일 1차 회의를 개최 했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지난달 27일 민선5기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하반기 최대 핵심사업으로 “대장구역·1공단 결합개발 계획을 발표하면서 대장동 개발이익으로 장기간 흉물로 방치된 1공단 부지에 시민공원을 조성하고 법원·검찰청 이전 문제까지 해결 하겠다”고 밝혔다.
성남시는 오는 2014년 부터 2019년까지 대장동 도시개발 구역(91만㎡)과 제1공단 부지(8만4천㎡)를 결합개발 할 방침이다.
‘결합개발’은 물리적으로 떨어진 두 개의 지역을 단일 사업구역으로 묶어서 개발 하는 것으로 개발여건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지역의 사업성을 높이기 위한 개발방식이다.
시는 사업의 중요성을 감안해 부시장이 T/F팀의 총괄팀장을 맡고, 행정지원, 도시계획, 기반시설, 공원조성, 도시개발 분과별 팀장은 국장급으로 구성하는 등 총 22명의 대규모 T/F팀을 구성했다.
또한, 시 예산의 부담없이 사업 추진이 가능한 SPC(특수목적법인)출자 방식에 대해 시의회와 토지주 에게 적극적인 설명과 협조를 구하고 민간자본 유치, 개발이익의 공공환수 방안등을 다각도로 검토해 결합개발의 성공적인 모델로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제1공단 공원화는 도심자연공원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2005년 6월 공단이 이전하면서 주거·상업지역으로 개발하는 내용의 도시기본계획이 확정됐고 민간사업자가 땅을 매입했다.
그러나 일부에서 공원 조성을 요구하고 나섰고 2010년 취임한 이재명 성남시장도 공원화를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민간개발 추진이 중단된 채 방치된 상태다.
대장동 개발은 지난 2004년 12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당시 대한주택공사)가 ‘한국판 베벌리힐스’를 만든다며 추진하다가 2010년 6월 사업을 포기했다. 이후 토지주들이 민간개발을 요구했으나 성남시는 지난해 3월 이곳을 도시계획사업구역으로 지정하고 공공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