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이한홍, 서울성모병원 전해명 교수팀 연구
위암 줄기세포가 위암 재발을 일으키고, 위암 환자의 생존율을 낮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위장관 외과 이한홍, 서울성모병원 위장관 외과 전해명 교수팀은 종양 줄기세포를 가진 위암 환자는 5년 안에 위암이 재발하거나 사망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의정부성모병원에서 위암수술을 한 406명의 환자 중 진행성 위암으로 근치적 절제술을 받고 보조적 항암제를 투여한 1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종양 줄기세포가 있는지를 분석했다.
종양 줄기세포를 확인하기 위해 세포막 단백질 조직인 CD133 발현을 분석한 결과 즉 CD133 양성반응을 보인 환자는 23%였다.
이러한 양성 환자군의 5년 무병생존율은 28.1%로 음성 환자군의 65.8%에 비해 2배 이상 낮았다. 또 양성 환자군의 5년 전체생존율은 47.5%로 음성 환자군의 74.0%보다 1.5배 이상 낮았다.
이로써 위암 환자의 종양 줄기세포가 5년 무병 생존율은 물론 전체 생존율과 관련이 있고 암 치료를 해도 종양 줄기세포는 살아남기 때문에 암이 재발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종양 줄기세포의 특성을 연구하여 소수의 종양 줄기세포에 다양한 표적 치료를 하면 재발률의 감소와 함께 암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해명 교수는 “위암 줄기세포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CD133의 발현 경로를 중점적으로 연구한다면 위암의 획기적인 치료법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의정부=김동일기자 53520@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