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파괴 vs 지역경제 ‘민심양분’

의왕 왕송호수 레일바이크 설치 사업 찬반논란 가열

의왕시 왕송호수 레일바이크 설치 사업이 환경파괴냐, 지역경제 활성화냐를 놓고 찬·반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23일 의왕시에 따르면 시는 철도특구 지정을 추진 중인 초평동 왕송호수 주변에 레일바이크를 설치하기 위해 지난 2010년 12월 지식경제부에 이 일대 2.29㎢에 대한 철도특구 지정을 신청했다. 시는 철도특구 신청이 승인되면 왕송호수와 철도박물관·철도기술연구원·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자연학습공원을 연계해 테마파크로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이에 대해 의왕시민모임·안양군포의왕 환경운동연합 등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레일바이크 설치반대 시민연대’는 지난 20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레일바이크 사업은 마구잡이식 개발로 민간부동산개발사업자들의 배만 불려 주고 시민에게 막대한 재정적 부담을 떠안기려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 “레일바이크 설치로 생태계의 순환고리가 단절되는 등 환경파괴가 우려된다”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레일바이크 설치를 제외한 철도산업특구 계획을 조속히 시행하라”고 주장했다.

이에 맞서 부곡동 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한 월암동·초평동 발전위원회 등 부곡지역 19개 시민사회단체는 ‘왕송호수 레일바이크 찬성 시민연대’를 결성해 레일바이크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23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레일바이크 설치 찬성 서명운동을 벌인 결과 부곡동 성인인구의 50%가 넘는 1만여 명이 서명에 참여하는 등 찬성여론을 확인했다”며 “지역사업은 지역주민의 의견을 최우선으로, 지역주민과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반박했다.

이들은 “반대시민연대도 재정악화가 우려된다면 전액 민자사업 추진을 시에 제안하고, 철새도래지와 환경훼손이 우려된다면 다른 지역에서 운영하는 레일바이크 현장을 견학해 조류와 환경에 피해가 있는지 따져보면 된다”며 “시와 반대 측·찬성 측 시민연대가 공동으로 견학해 조사하고 여론조사를 통해 사업추진 여부를 결정하자”고 제안했다.

한편, 시는 “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한 결과 10년 이내에 투자금 회수가 가능하고 사업성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192억원이 드는 사업비는 민간업체가 50%의 지분으로 참여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추진하면 재정에 큰 부담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의왕=임진흥기자 jhli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