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로’는 최대 이익 글로벌 삼성에 지나친 배려
“삼성전자 직원이 출·퇴근 하는 도로에 시민 혈세 수백억을 부담해야 하는 겁니까?”
삼성로 확장공사의 재원부담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수원지역 시민단체 및 정치권의 한결같은 불평의 목소리다.
이처럼 지난 2007년 경기도와 수원시, 삼성전자 3자가 양해각서 체결과 함께 시작된 ‘삼성로 확장공사’에 대한 삼성전자의 부담금이 형편없다는 논란은 수년째 지속되고 있다.
이 같은 논란은 수원지역 굴지의 대표기업을 벗어나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삼성이 지역사회에 대한 환원이 미흡하다는 지적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수원시가 부담해야하는 도시계획도로 확장공사비용 중 일부를 자신들이 부담하는 것이라며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재정난 허덕 경기도·수원시, 눈덩이 분담금 ‘아이러니’
삼성전자 “삼성직원도 수원시민…교통정체 해소 차원”
■ 지역사회·정치권 “특혜성 양해각서” 논란
지난 2007년 4월 20일 김문수 현 경기지사와 김용서 당시 수원시장, 윤종용 당시 삼성전자 부회장 등은 삼성로 확장공사를 위해 한자리에 모였다.
이 자리에서는 그동안 삼성전자가 지속적으로 수원시에 요구하던 삼성로 확장을 경기도와 삼성전자가 일정부분 부담한다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앞서 수원시는 삼성전자의 지속적인 요구에도 예산문제 등을 고려해 삼성로 확장에 난색을 표했으나, 경기도가 수원시 부담금액의 절반을 내놓겠다는 말에 양해각서를 체결하기에 이르렀다.
양해각서에는 경기도(갑)와 수원시(을) 및 삼성전자㈜(병)가 수원시 영통구 매탄동, 신동 일원의 수원시 도시계획도로(당시 중로 1-22호선) 확장을 위해 다음 사항을 성실히 이행할 것에 합의한다고 돼 있다.
특히 기존 20m 폭의 도로(왕복 4차선)를 35~40m(왕복 6·8차선)로 확장하는데 갑과 을, 병이 공사비용을 공동 부담하는 것이 골자다.
사업추진은 을이 주관해 추진하고 도시관리계획변경 및 실시 설계 등은 병이 시행하며, 갑과 을, 병은 사업이 원할히 추진·완료(2010년)될 수 있도록 행·재정 지원 등 제반사항에 대해 상호 최선을 다해 협력한다고 기재돼 있다.
이에 수원시는 경기도의 지원을 받아 삼성로 확장공사 비용(1천400억원) 가운데 3분의 2가량인 870억원을 부담, 특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반해 삼성전자는 총 공사비의 3분의 1가량인 530억원을 부담하는데 그친 것은 물론, 기존 보유토지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실질적으로는 253억원을 투입해 전용도로를 확장하고 있다.
■ ‘삼성로’ 이름 처럼 삼성 임·직원 출·퇴근용 도로
기존 왕복 2차선이던 삼성로가 4차선으로 확장된 것은 삼성전자가 수원시로 들어선 1970년대.
이후 삼성전자는 삼성로를 기점으로 주변 토지를 매입해 삼성전기와 삼성SDI, 삼성로지텍 등 10여개의 계열사를 세웠으며,현재도 주차타워와 쌍둥이빌딩 등이 들어서는 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이에 삼성로를 중심으로 양옆으로 거대하게 불어난 삼성전자는 기존 왕복 4차선 도로의 출·퇴근 시간대 차량정체가 극심하자 수원시에 도로를 확장해 줄 것을 수차례 요구, 도·시비 870억원을 지원받는데 성공했다.
이에 삼성전자는 임·직원의 출·퇴근 시간대 정체현상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등 가장 큰 혜택을 보고 있다.
실제 수원시의 교통영향평가에 따르면 삼성로는 삼성전자의 출·퇴근 시간대에만 차량이 집중됐으며, 나머지 시간대는 비교적 한산했다.
삼성로의 오전 7시부터 9시까지의 출근시간 교통량은 7천742대이며, 오후 5시부터 7시까지의 퇴근시간 교통량은 6천202대로 전체(오전 7시~오후 7시) 교통량 3만1천276대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출·퇴근 시간대를 제외하고는 교통량 자체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이는 일과시간대 삼성전자 임·직원들의 도로 이용률이 적기 때문이다.
수원시 역시 삼성로의 정체현상이 출·퇴근시간대 삼성전자 임·직원의 점유율이 높아지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이럼에도 삼성전자는 수원시가 부담해야 하는 공사비용 중 일부를 자신들이 부담, 수원시 도시계획도로를 확장하고 있다며 오히려 큰 소리를 치고 있는 실정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원칙적으로는 수원시가 삼성로 확장공사의 비용을 모두 부담해야 하지만, 삼성전자도 삼성로를 일부 사용하기에 공사비 일부를 부담하는 것”이라며 “삼성전자 직원들 역시 수원시민임으로 시민들의 이용이 아예 없다는 것은 인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안영국기자 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