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양주역세권 개발 성사될까?

민간개발 방식 전환 이후 사업자 없어 두 차례 무산 3개 컨소시엄 참여 주목

공영개발 방식에서 민간개발 방식으로 추진방식을 전환했지만 사업대상자가 없어 두 차례나 무산됐던 ‘양주역세권’ 사업에 세 곳의 컨소시엄이 참여, 사업이 성사될 수 있을지 귀취가 주목되고 있다.

24일 양주시는 양주역 일대를 최첨담 복합단지로 개발하는 양주역세권 개발사업에 참여할 의향서를 제출한 4개 업체를 대상으로 사업계획서를 접수한 결과 학운개발산업과 뉴잡, 정인그룹 등 3개 컨소시엄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오는 27일 심의위원회를 열고 의향서를 접수한 3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해 내년초 우선협상자를 지정할 계획이다.

시는 우선협상자와 협의를 거쳐 양주시 51%, 사업자 49%의 지분을 출자하는 특수목적법인(프로젝트회사)을 만든 뒤 협약을 체결, 내년말 착공할 예정이다.

양주역세권 개발사업은 시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5천800억원을 들여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에 반영된 개발제한구역 조정 가능지인 양주역 일대 99만7천㎡ 해제해 고품격 주거단지와 행정타운, 시민운동장 등을 건립하고 도시형 공장과 종합의료시설을 유치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지난해 양주역 일대의 개발방식을 공영개발 방식에서 민간개발 방식으로 변경한 뒤 사업 규모를 줄여 두 차례나 민간투자자 공모를 진행했지만 사업대상자가 나타나지 않아 실패했었다.

이에 시는 사업 추진이 즉시 가능하도록 토지에 대한 규제부터 푼 뒤 전체 사업부지 250만㎡ 중 우선 1단계로 99만7천800㎡만 추진하기로 하고 재공모를 진행해왔다.

시 관계자는 “사업의 성공을 위해 타당성 검토를 거쳐 실현 가능한 1단계 사업구역부터 추진할 계획”이라며 “양주역세권 개발사업이 완료되면 경기북부의 중심지로 변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주=이종현기자 leech049@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