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를 온몸으로 체감하면서 나는 이제 전 세계 물소비의 4분의 1은 쓰레기통에 들어갈 식품을 생산하는 재배지로 들어간다는 현실을 알고 더 이상 침묵하거나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고 싶다.
우리나라에서 버려지는 음식물이 년간 18조원이상이며 재배 및 유통단계에서 산업화, 규격화 유통기한문제에 걸려 곧바로 사라지는 식품을 포함하면 식품 폐기문제는 심각한 환경-경제-사회적문제가 아닐 수 없다고 본다.
못생긴 감자라서, 6㎝ 이하 사과라서, 경쟁력 없어 산지에서 그대로 버려지고 있으며 매일 밤마다 마켓에서 폐기되는 가늠할 수 없을 정도의 식품들, 여기에 식탁과 냉장고에서 무관심하게 버려지는 이 거대하고 불편한 세계 속을 들여다보면 볼수록 완벽한 식품을 구매하려는 편의주의적 소비자 행태에 수정을 가해야 한다는 자각이 든다.
유엔식량농업기구 발표를 보면 전 세계 식품의 3분의 1은 쓰레기로 버려지며 선진국은 2분의 1 수준이고, 영국 가정에서 매일 버리는 쓰레기 빵이 700만 조각, 감자 510만개, 달걀 66만개, 개봉하지 않은 요구르트 130만개 등을 알면 가히 충격적이다.
독일 언론인 슈테판 크로이츠베르거가 공저한 ‘왜 음식물의 절반이 버려지는데 누군가는 굶어 죽는가’를 읽으면서 슈퍼마켓에서 몰래 버려진 (주워가는 사람이 도둑이 되는) 어마어마한 규모의 식품값도 모두 제품가에 반영된 소비자 지불 몫이라는 사실에 소비자, 소비자단체가 주권의식으로 접근하여야 한다고 본다.
음식이 쓰레기인가? 아닌가?
열쇠는 소비자-그중에서도 이 시대의 스마트한 소비자가 해답 열쇠를 갖고 있고 스마트한 소비자행동을 통해 변화할 수 있다고 본다.
새해부터 달라지는 것 중에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실시가 있고 여기에 우선 기대를 갖는다.
그동안 일정 비용만 내면 음식물쓰레기를 무한정 버릴 수 있던 정액제에서 벗어나 이제는 많이 버릴수록 더 많은 돈을 내야 하는 종량제가 올해부터 지역여건에 따라 순차적으로 시행되며 전용봉투, 납부필증, RFID, 부피측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하게 된다.
주부들로서는 남는 음식을 버리는 과정의 번거로움에 더해 이제는 일반쓰레기처럼 봉투값 문제까지 감당해야 하는 상황으로 가고 있어 무조건 음식 쓰레기를 줄여야만 하는 지혜와 과제가 가중되었다.
음식쓰레기 발생량은 2008년 1일 1만5천t에서 2012년 1만7천t으로 연평균 3%씩 증가하는데 음식쓰레기 구성을 보면 잔반 쓰레기보다(30%)보다 유통. 조리과정 쓰레기 57%, 보관 폐기 식재료 9%, 먹지 않은 음식물 4%를 차지하고 있어 보다 원인별 근본적인 대응책이 요구된다.
이같은 바탕 위에서 최근 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는 ‘지속가능농업과 스마트소비자’ 주제로 정책협의회를 개최하였다.
녹색소비자연대는 미국의 선한 사마리아인의 음식기증법 (1996)과 같은 법제정 및 유럽처럼 학교정규수업에 음식쓰레기과정 포함교육 실시, 로컬푸드 사용 정보, 건강하고 공정한 음식소비 홍보 등으로 확산하자는 논의가 계속 이어졌으며 새해 추진계획을 준비중이다.
2013 스마트 소비자들이여.
새해에는 식품과 식품폐기물 문제에 한발짝 다가서자.
김 성 숙 인천녹색소비자연대 상임이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