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매년 300억 들여 주차장 등 조성… 5대 공기업 이전 부지도 업무용지 전환
성남시가 부동산 경기침체로 수익성이 떨어지면서 재개발이 사실상 중단된 본 시가지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이 지역의 단독주택을 직접 매입키로 했다.
이와 함께 5대 공기업 이전에 따른 토지도 시 재정 확충에 필요한 업무용지로 전환키로 했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3일 기자회견을 열고 “수정·중원지역 재개발지역의 단독주택을 매년 200~300억원을 들여 매입한 뒤 단기적으로 주차장, 공원, 복리시설 등 공공시설로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는 또 이 매입부지는 재개발이 이뤄지면 무상 양여해 사업성을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이 시장은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성남지역에 있는 5개 공기업 이전에 따른 부지활용 방안에 대해 “주거시설이나 노유자시설이 들어서지 못하게 하고 반드시 대기업 본사나 연구개발센터를 유치해 일자리 창출을 유도하겠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공기업 부지 중 개발여지가 있는 토지는 시가 인수해 업무용지로 전환, 기업을 유치하고 재정수익과 일자리창출, 세수창출 등 세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입장이다.
또한 판교 이주단지 아파트와 관련, 이 시장은 “본 시가지 재개발 이주단지로 조성된 이상, 대책없이 일반분양하는 것은 재개발을 사실상 중단하는 것과 마찬가지기 때문에 입주예정자의 동의없이 허용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의회 파행으로 올 예산안 의결이 이뤄지지 않은 것에 대해 이 시장은 “시의회 새누리당이 예산안 의결에 당론으로 불참한 것은 고위 당직자의 입김이 작용했기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면서 “중앙정치가 지방정치에 관여하는 것은 박근혜 대통령당선자의 정치 행보에도 반하는 것”이라고 성토했다.
한편, 이 시장은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임시회를 소집해 올 예산을 정상적으로 처리해 줄 것을 시의회에 요구했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