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옥신은 인류가 만들어 낸 독극물 중 가장 강한 맹독성 물질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스티브 하우스씨의 증언은 대한민국을 충격으로 몰아넣었다.
다이옥신을 매립한 곳이 경북 왜관지역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발 딛고 사는 전국 곳곳에 다이옥신이 매립돼 있을 수도 있다는 공포감 때문이었다.
이 와중에 캠프 캐럴에서 반출된 고엽제 오염 토양을 캠프마켓에서 처리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와 재미 언론인 안치용씨가 공개한 미군공병대 문건에서 중금속 오염물질 등을 캠프 마켓에서 처리했다는 내용은 인천지역을 충격으로 몰아넣었다.
인천시가 긴급하게 캠프 마켓 주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 극미량이긴 하지만 다이옥신이 검출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인천시는 보다 정밀한 조사를 요구하는 시민사회의 요구를 받아 들여 부평구에서 조사하도록 예산을 배정했다.
부평구는 농어촌공사를 용역조사업체로 선정하고 캠프 마켓 주변에 대한 조사를 하도록 용역의뢰했으며, 농어촌공사는 조사과정에서부터 시민사회단체들의 전문가 및 관계자들과 공동으로 민관공동조사단을 구성해 조사했다.
이 조사에서 일부 조사구역에서는 전국 평균치의 24배에 달하는 다이옥신이 검출됐고 다이옥신에 버금가는 독성물질도 검출됐다. 과거 미군부대 지역이었던 부영공원과 캠프마켓 주변을 조사한 결과가 일반적인 추정치 보다 훨씬 많은 양의 독성물질이 매립됐음이 확인된 것이다. 법규에 따라 환경부는 1차 조사에서 검출된 다이옥신과 다이옥신에 버금가는 독성물질의 정체를 밝히기 위한 2차 정밀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그러나 농어촌공사가 검사한 665개의 샘플 중 47개의 샘플에서 다이옥신이 검출됐는데 환경부는 단 7개의 샘플만을 조사 하겠다는 계획을 세워 시민사회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통상적으로 정밀조사라 함은 전 단계의 조사보다 조사횟수를 늘리고 조사방식도 세밀해야 한다. 환경부는 7개의 샘플만 조사할 수밖에 없는 이유로 예산을 들고 있다. 전국에 약 10개 지역 정도를 조사해야 하는데 예산은 8억원이라는 것이다. 평균 8천만원이다.
농어촌공사가 용역 조사한 1차 조사 예산은 3억원이었다. 환경부와 달리 국방부는 환경오염이 확인됐기에 오염 부지에 대한 오염정화 처리를 해야 한다.
국방부는 민관 공동조사를 요구하는 시민사회단체들의 1인 시위와 기자회견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조사하겠다는 의지를 굽히지 않은 채 용역 기관도 독자적으로 선정했는데 갑자기 특별한 이유 없이 4월 말까지 조사 완료하겠다는 이행 약속을 뒤로 미루고 있다.
국방부가 지역 주민들을 위해 오염 정화할 의지가 확실하다면 시민사회가 요구하는 민관공동조사단을 즉각 구성하고 시행하면 된다. 이처럼 2차 조사로 정밀 조사가 필요한 것은 1차 조사에서 대량으로 나온 독성 물질 등에 대한 정확한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1차 조사에서 다이옥신이 전국 평균치의 24배에 달하는 양이 검출됐는데, 정확하게 어느 곳에 어느 정도의 량으로 매립돼 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이처럼 정밀 조사의 필요성은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여러 이유를 들어 미룰 사안은 아니다.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처리해야 하는 것이다. 그래야만 지역 주민의 불안감이 해소될 것이다.
곽 경 전 부평미군부대 공원화추진 시민협의회 집행위원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