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시 "통합 환승활인이 우선…검토단계 아니다"
경영난을 겪는 의정부경전철㈜가 수도권 통합 환승할인과는 별도로 MRG(최소 운영 수입보장) 하한선을 없애거나 SCS(비용보전방식)로 전환해 줄 것을 의정부시에 요구하고 나섰다.
1일 의정부경전철㈜에 따르면 의정부시와 의정부경전철㈜는 이용수요가 협약수요의 50% 미만이거나 80% 이상이면 MRG를 보장하지 않는 조건으로 실시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의정부경전철은 통합 환승할인이 도입돼 수요가 늘어난다 해도 협약수요의 50% 미만이 예상돼 의정부시로부터 MRG를 보장 받을 수 없다. 더욱이 매년 협약수요가 1만명 정도 늘어나는 상황에서 특단의 활성화 대책이 이뤄지더라도 협약수요의 50%를 넘기기 어렵다는 판단이다.
실제로 의정부경전철 수요는 지난해 7월 개통 후 11월 요금을 한시적으로 300원으로 인하한 때를 제외하곤 지난해 12월까지는 협약수요 7만9천명의 15.28%에 불과했다.
또 올해 들어서도 1만4천~1만5천명 선으로 다소 늘었지만 협약수요가 지난해 보다 1만명 정도 늘어난 8만9천명으로 여전히 1·2월 15.28%, 3월 16.5% 등으로 협약수요의 20% 미만이다.
의정부경전철㈜ 관계자는 “개통 이후 매월 20억원 정도의 운영적자가 누적되고 있다”며 “원리금상환도 제대로 못하는데다 인천지하철 관리운영비 조차 지난해 11월 이후 지급하지 못하는 등 운영난이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의정부경전철㈜는 이같은 경영난을 타개하기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MRG 하한선 폐지나 SCS로 전환해 줄 것을 의정부시에 요청하고 있다.
그러나 의정부시는 현재로선 하한선 폐지나 SCS 전환을 검토할 단계가 아니라고 밝혔다.
특히, SCS는 이용수요와 상관없이 의정부 경전철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인건비를 포함한 운영비 등 적자분을 보조해 주는 시스템으로 MRG 보다 재정부담이 크기 때문에 시로서는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내년을 목표로 하는 통합 환승할인이 우선”이라며 “특수목적법인과 함께 경전철 활성화를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모두 강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의정부=김동일기자 53520@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