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상황인데… 여야, 대북특사 파견 또 대립

여야 정치권이 한반도 위기상황 해결을 위한 대북특사 파견 문제를 놓고 논란을 벌이고 있다.

새누리당 상당수는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시기에 대해선 부정적인 입장인 반면 민주통합당 등 야당은 ‘대북특사 파견’을 거듭 촉구하고 나섰다.

8일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통일부 업무보고에서 대북특사 파견 문제를 놓고 여야 의원들이 찬반 대결을 벌이기도 했다.

새누리당 윤상현 의원(인천 남을) 외통위 회의에서 “북한이 워싱턴과 서울을 불바다로 만들겠다고 긴장을 조성하는 상황에서 특사를 제안하면 ‘북한의 위협에 굴복했다’는 잘못된 시그널을 줄 수 있다”면서 “대북 특사 파견은 시기와 형식적으로 지금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

필요성 공감하지만 개성공단 파행 상황서 대화 요청할 시기 아냐

민주통합당

남북 신뢰구축 기조 대화 재개 위한 제안 진지하게 고민해 주길

류길재 통일부 장관도 “북한이 개성공단의 비정상적 파행 상황을 일으켰는데 우리가 대화를 요청할 경우 (북한이) 얼마나 진실하고 성실한 태도로 임할 지 의문”이라며 “대화를 통해 실효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면 자존심을 굽혀서라도 대화할 수 있지만 지금 상황은 대화를 통한 협상으로 해결될 국면이 아니다”고 밝혔다.

반면 민주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의정부갑)은 이날 부산 영도구청에서 개최한 비대위 회의에서 “확고한 안보를 바탕으로 한 남북간 신뢰구축을 기조로 침착하고 안정적인 대응을 잘하고 있지만 우리 정부가 주도하는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행동이 필요하다”며 “남북대화 재개를 위한 민주당의 대북특사 파견 제안을 진지하게 고민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정성호 수석대변인(양주·동두천)도 현안브리핑을 통해 “10일을 전후해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있을 수 있다는 청와대 발표로 국민들이 매우 불안해하고 있다. 청와대는 그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면서 “북한의 도발에는 철저히 대비해야 할 것이지만 한편으로는 대화노력을 지속하는, 단호하지만 유연한 리더쉽을 발휘해 줄 것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촉구한다”고 밝혔다.

강해인ㆍ김재민기자 jmki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