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경전철 개통 또 지연되나

市-시행자, 운영 보전액 놓고 이견… 26일 개통 차질 가능성

용인경전철의 운영비 보전액을 놓고 용인시와 사업시행자의 의견차가 좁혀지지 않아 오는 26일로 예상됐던 용인경전철 개통시기가 또다시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14일 용인시에 따르면 시는 경전철 운영회사인 용인경전철(주)와 운영비 보전액을 놓고 협상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운영비 보전액을 놓고 용인시는 연간 270억원을 넘길 수 없다고 선을 긋고 있는 반면 용인경전철(주)이 352억원을 요구하면서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용인경전철 측은 그동안 26일 개통에 적극 협조하는 분위기였으나, 최근 운영비 협상에서 인건비, 재료비, 전기료 등이 상승했다며 높은 비용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전철 운영의 핵심회사인 캐나다 봄바디어사는 자신들이 투자한 400억원을 우선 지급하거나 용인시가 지급보증할 것을 요구하는 등 협상조건을 더욱 복잡하게 몰아가고 있다.

반면 시는 재정이 극도로 어려워진 상황을 감안할 때 270억원 이상은 줄 수 없으며, 운영비 보전액에 대한 양자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개통시기를 늦출 수밖에 없다며 초강수를 두고 있다.

개통이 지연될 경우 지난 2010년 6월 완공 이후 개통약속을 수차례 어기는 것이어서 시민반발이 우려된다. 용인경전철(주)에 지연기간 만큼 월 20억원 가량의 추가 유지관리비용을 지급하는 문제를 놓고 논란이 불거질 수도 있다.

그러나 용인경전철(주)에 보전해줘야 하는 운영비가 터무니 없이 높은 상황에서 개통이 강행될 경우 더 큰 비용적 손해를 감수하는 상황이 올 수 있기 때문에 물러설 수 없다는 게 시의 입장이다.

정규수 용인시 도시사업소장은 “용인경전철(주)이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을 계속 요구하고 있고 운영비에 대해서도 전혀 양보하지 않고 있어 개통을 연기할 수밖에 없다”며 “더욱이 혈세 낭비라는 비난여론이 큰 상황에서 무리한 개통으로 재정난을 키울 수는 없어 어쩔 수 없는 선택임을 시민들이 이해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용인경전철은 민간자본 투자방식으로 총 1조32억원을 들여 지난 2010년 6월 완공됐으나, 최소수입보장 비율(MRG) 등을 놓고 시와 사업시행자 간 막판 법정다툼이 벌어지면서 지금까지 개통이 지연되고 있다.

용인=강한수박성훈기자 pshoon@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