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조합비로 운영 계획 창단비 등 지원 나서 논란 내년에도 4억원 책정 방침 특정종목 특혜 시비 우려
사회적협동조합 시흥시민축구단 창단을 추진하고 있는 시흥시가 창단 기본 취지와 달리 올해 창단비 3천만원, 내년 운영비 4억원의 예산투입 계획이 알려지면서 논란을 빚고 있다.
19일 시와 체육관련 단체 등에 따르면 시는 예산지원 없이 지속가능한 시민축구단을 만들기 위해 축구인, 시민 등이 참여하는 사회적협동조합 시민축구단 창단을 지난해 7월부터 추진하고 있다.
사회적협동조합 축구단은 시민이 축구단 조합원으로 가입하고 조합비를 내면 이 자금으로 축구단을 운영하는 제도로써 시는 시민축구단 창단을 통해 시민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해 주인의식을 부여하고 대내외적으로 시흥을 홍보하는 랜드마크로 육성, 시의 위상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시는 오는 12월 사회적협동조합 축구단 창단을 위해 감독·코치 인건비 1천만원, 사무국 인건비 등 운영비 1천900만원 등 모두 3천30만원의 추가경정 예산안을 시의회에 상정했으며 내년도 예산에서도 4억원을 지원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일부 시의원과 체육관련 단체들이 형평성 문제를 제기,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김영군 시의원은 “대부분의 체육인들이 요구하는 희망공원 본부석, 회의실 마련에 대한 예산은 편성하지 않으면서 사회적기업인 축구단에 시 예산을 투입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며 체육인들과의 공감대도 형성하지 못한 상태에서 창단하는 것은 더욱 잘못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 생활체육협의회 관계자도 “이익을 창출해야 하는 사회적협동조합에 막대한 시비를 투입하는 것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 “최근 생활체육인들이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에 특정 종목에만 투자하는 것은 자칫 생활체육에 소홀해 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민 축구단은 전액 시비를 투입해야 하지만 사회적협동조합 축구단은 초기에 일부 시 예산을 투입, 향후 조합원 가입을 통해 자생력이 생기면 예산지원을 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시흥=이성남기자 sunlee@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