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이전땐 ‘서해안 생태감시 기능’ 소홀 우려
안산시에 본원을 두고 있는 국내 유일의 종합해양연구기관인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정부의 지역균형 발전을 이유로 이미 해양연구원이 들어서 있는 남해안 권역 인근으로 이전, 서해안 해양환경 연구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어 해양과학기술원 이전 문제가 좀 더 신중히 검토되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23일 안산시와 해양과학기술원 등에 따르면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지난 1986년 해양과 관련된 기초·응용과학 기술개발은 물론 해양자원 개발, 해양환경 연구 등을 총괄하고 있는 국가 기관으로 남해 등 3개의 분원과 극지연구를 두고 연구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안산에 본원을 두고 있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서해의 대기오염 해소를 위한 연구활동은 물론 서해안 연안환경 개선사업, 경기도 서해안권 개발계획 수립 등 다양한 권역단위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연안통합관리 체계 구축을 통해 시화호 종합관리계획을 수립, 시화호 해양환경개선 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시화호 조력에너지 실용화를 위한 기술 개발을 통해 254㎿급의 세계 최대 조력발전소 ‘안산·시화호 조력발전소’가 가동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등 서해권역 연구 및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처럼 서해안의 발전을 위해 활동을 하고 있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부산으로 이전할 경우 거제시에 위치한 남해연구소(남해안 권역)와 인접, 해양관련 국가 사업이 특정 지역에 편중될 것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어 해양과학기술원 이전 문제는 정부의 지역균형 발전 정책에서 제외되야 할 것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공공기관 지방이전 계획’을 통해 지난 2009년 10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본원을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혁신지구로 이전할 방안을 최종 승인, 중국과 인접한 서해안의 각종 해양 오염과 환경 악화에 대한 생태감시 기능이 전무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와 관련 시민단체 등은 “서해안 해양에 대한 에너지 개발 및 환경감시 기능 등 해양과학기술원 이전 문제는 좀 더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며 “안산에 본원을 두고 있는 해양과학기술원은 설립 당시부터 서해를, 거제 분원은 남해, 울진 분원은 동해를 각각 담당해 온 만큼 해양과학기술원이 수도권에 위치했다는 이유만으로 단순하게 지방 이전에 포함되기 보다는 권역별로 특성화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설립 목적에 의미를 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산=구재원기자 kjwoon@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