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 해양과학원 부지 활용 ‘무대책’

지방행 코앞인데 ‘난개발’ 우려… ‘분원 유치’ 시급
타 지자체는 ‘이전 부지’ 매입 ‘미래 행정수요’ 대비

정부의 지역 균형발전 방침에 따라 ‘해양과학원’의 지방 이전이 추진되고 있으나 부지 활용방안이 마련되지 않아 난개발 등이 우려(본보 13일자 11면)되는 가운데 인근 지자체의 경우 지방 이전을 앞둔 정부투자 기관 등의 부지를 미래 행정수요 등에 대비 매입하고 있어 안산시와 대조를 이루고 있다.

특히 안산에 본원을 두고 있는 ‘해양과학원’이 지방으로 이전할 경우 서해안 등에 대한 연구 거점을 상실하게 될 것에 우려, 현 부지에 ‘분원’ 형태의 연구 거점을 확보할 수 있도록 부지 활용방안이 모색되야 할 것 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21일 ‘해양과학원’과 인근 지자체 등에 따르면 현재 정부의 지역 균형발전 방향에 따라 지방으로 이전을 추진하고 있는 정부투자 및 출연 연구기관 가운데 서울과 수도권에 소재한 13개 기관 부지를 해당 지자체에서 매입을 완료했거나 매입을 추진하고 있다.

안양시의 경우 만안구 안양동에 위치한 ‘농림축산검역원(부지 5만6천309㎡)’을 지난 2010년 12월에 해당 부지를 공원 및 체육, 업무시설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1천290여억원에 매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수원시는 ‘국립농업과학원(부지 4천942㎡)’과 ‘국립식량과학원(부지 2천807㎡)’을 지난 2009년 11월과 2011년 5월 각각 매입, 도서관과 물류센터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부지를 매입한 상태다.

서울시의 경우도 지난해 11월 미래 행정수요에 대비 동대문에 위치한 부지 면적 2만1천937㎡ 규모의 ‘한국농어촌경제연구원’을 508억원에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안산시의 경우도 서해안권 개발에 따른 역활과 수도권 해양환경 등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해양과학원 서해연구소(분원)를 설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해양과학원 부지에 대한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해양과학원이 지방으로 이전하더라도 서해안에 대한 해양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및 연구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분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 해양과학원 부지를 무조건 매입하는 것 보다 분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가 필요하다”며 “시 재정에 여유가 없는 상태에서 시에서 매입해 다른 방안으로 활용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kjwoon@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